감성 지식의 탄생 - 지식채널e는 어떻게 태어나고 진화했나
김진혁 지음 / 마음산책 / 2010년 7월
절판


EBS는 지식채널입니다.
EBS가 생각하는 지식은 암기하는 정보가 아니라 생각하는 힘입니다.
현학적인 수사가 아니라 마음을 움직이는 메시지입니다.
빈틈없는 논리가 아니라 비어 있는 공간입니다.
우리의 사고를 구속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자유롭게 하는 것
그것이 EBS가 생각하는 지식입니다.

-<스페셜> 편에서-64쪽

<지식채널e>의 정치적 입장은 '보수'에 가깝다. <지식채널e>가 말하는 기본적인 메시지가 '착하게 살자'는 일종의 '보편적인 선'이고, 이것이야말로 보수적 가치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67 ~ 68쪽

요즘은 사안들이 대부분 '극단적 대결'로 벌어진다. 즉 어느 하나가 주장하는 의견이 다른 한편에서 주장하는 의견과 절충이나 타협을 하지 못하다 보니, 한쪽이 살면 다른 한쪽은 죽어야만 하는 상황이 반복된다. 그러다 보면 상대가 하는 말 모두가 '다른 생각'이 있는 것으로만 보이고 당연히 평행선을 달릴 수밖에 없다. (…) 따라서 그 물꼬를 먼저 틀 수 있는 쪽은 더 많은 힘을 가진 쪽이다. 약한 쪽에 '양보'를 말할 수 있지만 '굴복'을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 -68 ~ 69쪽

아이템이 매번 '사회적 관점'으로 발전하게 된 이유도 단순히 '소외'가 만연해서만이 아니라, 그것을 모르고 있던, 그래서 매번 충격을 받던 '나 자신' 때문이었다. (…) 그러니까 결국 모든 소외의 공통분모는 그것을 모르고 있던 자기 자신이다.-136쪽

보통 사회 비판적인 매체들은 선한 욕망을 격려하기보다는 악한 욕망을 꾸짖는 경향이 있다. 흔히 하는 말로 '네거티브'하다는 말이다. 물론 어떤 사안을 비판하기 위해서는 꼭 잘못된 점을 지적해야 한다. 다만 네거티브하기만 할 경우 자칫 선한 욕망을 간과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 또한 선한 욕망은 일종의 '대안'을 뜻한다. 무언가를 '하지 말라'는 말에 100퍼센트 공감하더라도, 그것 자체가 해야할 무엇을 알려주지는 못한다. 아무리 네거티브해도 반드시 '포지티브'한 것을 포함해야 한다. 그래야 온전한 비판을 통해서 얻고자 하는 것, 이루고자 하는 것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비판적 시각에는 '악한' 욕망에 대한 꾸짖음과 '선한' 욕망에 대한 격려가 모두 들어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중에서도 선한 욕망이 훨씬 더 중요하다.-144 ~ 1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