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전 세계 인구의 두 배도 너끈히 먹여 살릴 수 있는 식량이 생산되고 있다. 그런데 왜 하루에 10만 명이, 5초에 한 명의 어린이가 굶주림으로 죽어가는 것일까.

 언젠가의 한때는 저 멀리 아프리카의 기아와 내전이 이슈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파괴나 세계 각지를 휩쓰는 전쟁, 신종 바이러스, 우리네 식탁에 오르는 먹을거리의 안전에는 관심을 기울여도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림과 각종 병에 시달리다 죽고 마는 가련한 사람들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는다. 브레히트의 말처럼, 분노하는 것이 고통이기 때문에 그저 외면하는 것으로 편해지고 싶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알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 기존에 인지한 내용은 알아도 아는 것이 아니었다. 어쩌면 제대로 알고 싶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무력감에 시달리고 싶지 않아서, 차라리 모르기를 바랐는지도. 두껍지도, 빽빽한 활자가 눈을 어지럽히지도 않는데 슬픔과 답답함에 페이지 넘기는 것이 곤욕스러워 자꾸만 책을 내려놓고 만다.

 오늘날 소수가 누리는 부와 자유, 행복을 위해서 절대 다수의 가난하고 힘없는 이들은 생존조차 어려운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에 놓여있다. 결코 쉽지 않지만, 불가능하지는 않은 극심한 기아 해결을 위한 방책은 결국 타인의 아픔을 내 것으로 끌어안을 수 있는 인간의 연대의식에 달려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우유부단하고 유약한 유엔이 아니라 사회운동, 비정부조직, 다국적 자본과 그 과두제에 저항하는 노조들의 전 지구적인 연대만이 희망이라고, 이런 잔인한 비극은 더는 반복되지 않아야 하고, 빠른 시일 내에 개선되어야 한다. 하지만 과연, 이 희망이 그저 희망으로 끝나지 않고 결실을 거둘 수 있을까. 아직은 인간의 인간다움에 기대를 걸어도 좋은 것일까. 현재로서 기댈 수 있는 유일한 희망에 재를 뿌리려는 것은 아니지만,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기가 어려워 마음이 무겁다. 
 

 

+) 드디어 리뷰를 남길 수 있었다. 처음 읽은 후 오늘까지 얼마나 긴 시간이 필요했는지... 몇번을 읽어도 책 속의 이야기들은 슬프고 답답하게 마음을 죄어온다. 아마 달라진 것 없는 현실을 알기에 읽을 때마다 죄책감이 더해져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다. 대체 언제쯤이면 전 세계에서 굶주림으로 고통받다 죽어가는 사람들이 사라질 것인가. 먼 미래의 어느 날이라도, 정말 기아로 인한 고통이 사라질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이조부 2010-12-13 13:58   좋아요 0 | URL


김주원 이 읽는 책이네요~ ㅎㅎ

알라딘에고 현빈의 서재 라고 생겼던데 말이죠

읽고 싶은 책인데 아직도 게을러서 못 보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