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 같은 화학 변화의 비밀 비주얼 과학 5
고모리 에이지 감수, 김정환 옮김 / 상상의집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마법같은 화학 변화의 비밀

-상상의 집


 


 

 

수헬니베~~~~~~~~

수도없이 외웠던 주기율표에요.

오랜만에 보니 반갑기까지 하네요 ^^

 

하지만 우리 아이에게  알려주고 싶은 과학은 이런 암기식 과학이 아니에요.

일상에서 생기는 지적 호기심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과학의 즐거움을 깨치며

과학과 친해졌으면 좋겠어요.


마법같은 화학 변화의 비밀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현상을 통해 궁금증을 해결하고

원리를 깨우치면서 과학과 친해지며 흥미를 키울 수 있는 책이에요.



 

원자의 구조에 따라 번호를 정해서 번호 순서대로 늘어놓은 주기율표,

본인들이 아는 것이 얼마나 있는지 찾아보면서

하나씩 찾을 때마가 서로 많이 안다고 신나하네요.

 이렇게 즐기면서 노는 듯히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초등 비쥬얼 과학 책이에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화학 변화에 대해서

풍부한 사진과 그림으로 보여주고

친절하고 쉬운 설명을 덧붙이고 있어서 너무 마음에 드는 책이에요.



 

얼마 전에 치약 만들기 놀이를 하면서

녹슨 동전을 찾은 적이 있었어요.

그 땐 무심코 넘어갔던 녹슨 동전...

 

동전은 왜 녹이 스는걸까요?

10원짜리 동전은 구리와 아연을 섞어 만든 것이에요.

이 중 구리가 산화해 다른 물질이 되면서

표면의 색깔이 변하고 광택이 없어진다고 하네요.

녹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녹을 막아놓은 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어요.

 


 

엄마가 가스레인지를 켤 때마다 가스가 불꽆을 나면서 타요.

이것은 연소라는 화학변화에요.

물질이 열과 빛을 내면서 산소화 격력하게 반응하는 것이지요.

탄소 1과 산소 2가 만나 이산화탄소, CO2가 발생하는 것이 연소에요.


 

금속이나 화합물 중에 불꽃에 닿으면 색을 내는 것이 있어요.

이런 현상을 이용해서 불꽃놀이를 해요.

폭죽에 금속을 섞어서 화려한 색깔의 빛을 내는 것이지요. 


이 글을 읽으면서

'그럼 불꽃의 모양은 어떻게 나오는 걸까?'

 궁금하여 다른 책들을 찾아보았어요.

 

궁금증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또 궁금증이 생기는 호기심 연결고리~~

이런 자세 너무 좋아요~~ ^^
 


 어머머~~~~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것도 화학 변화를 이용해서 빛을 내는 것이래요.

작년에 코타키나발루에서 봤던 반딧불이를 추억하며

이 부분도 아주 꼼꼼하게 읽어보았어요.


 

아이들이 좋아하는 형광봉~~

반딧불이와 마찬가지로 너무 많은 에너지를 빛을 형태로 내보내는 것이래요.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 빛이 나지 않는 것이였군요.


 

우리 일상에는 마법처럼 신기한 화학 변화들이 정말 많네요.

마법같은 화학 변화의 비밀은 이런 신기한 화학 변화들을

그림과 사진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이에요.

 이 책을 읽으면서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들이

호기심으로 연결되네요~

자연스럽게 과학과 친해질 수 있는 책으로 살포시 추천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