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과학으로 읽는 트라우마와 통증 - 행복한아침독서 / 책둥이 추천도서 ㅣ 푸른지식 그래픽로직 6
스티브 헤인스 지음, 소피 스탠딩 그림, 김아림 옮김, 고영훈 감수 / 푸른지식 / 2016년 7월
평점 :
절판

푸른 지식에서 펴낸 뇌과학으로 읽는 트라우마와 통증: 우리 몸의 생존법 ~
제목의 골치아픔과는 다르게 표지는 참 유니크하고 재미있다.
모두들 한가지씩은 가지고 있을 트라우마와 통증에 관해서 화려한 색감과 재밌는 그래픽노블을 통해 쉽게 접근하도록 만든 책이다.
누구나 한번쯤은 우리의 뇌에 관해,어렸을때부터 혹은 어떤 사고나 사건을 계기로 만들어진 트라우마에 대해 파헤쳐보고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극복할 수는 있는 것인지,우리의 뇌는 어떻게 생겨 먹었길래 이리도 많은 잡다한 생각들과 기능들로 가득차 때론 오류를 일으키고 원인 모를 통증을 만들어내 우리 몸과 마음을 힘겹게 하는 것인지에 대해 체계적으로 알아보고 싶은 마음이 들때가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뇌라는게,, 거기다 과학이 들어가고 어려운 의학적 용어들이 난무하기 시작하면 몇 장 읽다가 포기하기 십상인데 반해 이 책은 그리 두껍지 않은 분량에 아이 마저도 읽어보고 싶게끔 아름다운 비쥬얼로 유혹하고 있어 트라우마와 통증에 관한 초기 입문서로는 참 괜찮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일단 읽기 시작하면 번역서이고 의학용어들도 등장 하다보니 만화책만큼 쉽게 읽히진 않겠지만 그림을 보면서 조금씩 되새김질하고 자신의 경우를 대입해가며 찬찬히 읽어 나가다보면 왜 트라우마가 생겨났는지, 그 트라우마를 가감없이 받아들이고 이해하다 보면 언젠가는 극복할 희망이 생길꺼란 긍적적인 마음이 생겨난다.
모든 것이 머리의 문제이면서도 마음의 문제이다.통증이란 것도 마찬가지이고.
원인을 분석해 치료하고 나면 통증이 사라지기도 하지만 습관처럼 만들어진 통증 신호는 지속적으로 발생해 만성통증이 되기도 하는데 이를 치유하는 방향을 제시하기도 한다. 가령 신체 감각을 강화해 통증 감각을 무디게 하는 방법들도 있다고 한다.
우리의 뇌가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식인 도피와 투쟁,또는 해리 현상과 방향결정등 우리가 스스로 인식하기도 전에 우리의 뇌는 스스로를 보호할 다양한 방식들을 이미 가지고 있다.극적인 사건 뒤 몸이 떨리는 현상 또한 넘치는 에너지를 안전하게 내보내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지기도 한다.
누구나 겪을 수 있는 흔한 트라우마와 작은 통증들도 방치해 내버려두면 언젠간 자신의 삶을 파괴해버리는 거대한 괴물로 변해 버릴 수 있지만 그렇다고 극복할 수 없는 존재들도 아니다.자신을 제대로 인식하고 정면으로 트라우마에 맞서다보면 강력한 괴물들도 어느덧 흐릿해질때가 올 것이다. 그런 긍적적인 속삭임을 어렵지 않게 들려줄 책이 아닌가 싶다.
최근 경주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경주를 포함 그 인근지역의 잦은 여진으로 말미암아 지진 트라우마로 잠 못 이루는 분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다.(나포함ㅠ;;) 우르릉거리는 소리,윗층의 발소리,트럭이나 기차 지나가는 소리 그리고 진짜 여진으로 땅과 창문의 흔들거림은 언젠가 큰 지진이 오진 않을까하는 불안감과 함께 일상의 흔들림마저 가져오고 있다.
그런때에 이 책을 만나니 반갑기도 했고 어서 이 시기가 지나가서 평온한 일상을 되찾게 된다면 편안한 마음으로 다시 집어들어 제대로 정독하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했다.

트라우마의 정의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전부 일정 기간 이상 정신적으로 압박을 받는 경험이 쌓이는 것으로 규정해요.어렸을 때 겪은 지속적인 고통은 끔찍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죠.

두뇌는 여러분의 몸이 경고신호를 내는 상황을 활용해요.마음과 몸은 확실히 연결되어 있으므로 몸과 관계없는 순수한 생각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없답니다.두뇌 속에 변화가 일어나면 항상 몸속 어딘가도 생리적인 변화가 일어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