쌤통이다, 달님 동시만세
윤미경 지음 / 국민서관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어린이 동시집은 <뽀뽀보다 쎈 것> 에 이어 두번째 동시집< 쌤통이다, 달님>이에요.

 

동시집 제목이 너무 재미있어서 선택하게 된 책이에요.

 

처음에 동시집을 접할때 동시가 아이에게 어렵지 않을까 싶었는데

 

동시가 너무 재미있더라구요.

 

한참 학교에서 동시대회가 있었었는데 아이들이 지은 동시가 예쁘면서도 아이스럽게 표현되어 재미있었어요.

 

이번 <쌤통이다, 달님>은 일년 열두 달 365일 봄, 여름, 가을, 겨울 24절기의 각 절기마다 내려오는 이야기, 자연의 이야기들을 주제로 동시로 표현된 책이에요.

 

 

, 여름, 가을, 겨울 총 4가지 분류로 나뉘어져 있어요^^

      

첫번째, 봄입니다.

입춘, 우수(2), 경칩,춘분(3),청명,곡우(4) 이 시기가 봄이에요.

봄이라 하면 꽃이 피는 계절이지요.

봄이 오면 대문앞에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고 적어 놓았지요.

입춘대길 시로 봄의 첫 페이에 담아 놓았어요.

     

 

두번째는 여름이에요.

 

입하,소만(5), 망종,하지(6),소서,대서(7)이 해당되지요.

여름이 되면 모내기 등 본격적인 농사를 시작하는 때이기도 하고 비감 많이 오기도 하고, 날씨도 매우 더운 계절이죠

이런 여름의 특성을 살린 <양심없는 비>, <열대야 >

저는 이 동시들이 너무 재미있더라구요.

비가 하도 내려서 밖에 놀 수도 없고 비가 원망스러울 때가 있지요.

이런 비를 < 양심없는 비>라고 한 것이 너무 재치가 있어요. < 양심없는 비>라는 제목에

아이의 커~~다란 주먹으로 표현되어 아이가 깔깔 웃었네요^^

   

세번째 가을입니다.

 

입추,처서(8),백로,추분(9),한로, 상강(10)이 해당되요.

가을은 곡식이 무르 읽고 수확의 계절이자 풍요로운 계절이지요.

단풍이 들고, 귀뚜라미도 윙~~~~~~울고

여름에 길~~~었던 낮이 이 시기가 되면 밤과 낮의 길이가 비슷해 졌다가 밤에 길어지게 되지요.

이시기를 추분이라고 하는데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절기라고 해요.

무더웠던 여름.. 햇님을 ..

산들이 땀을 삐질 삐질 흘리며 햇님하테 뭐라 하네요 ㅋㅋㅋ

 

 

네번째, 겨울이에요.

 

입동,소설(11), 대설,동지(12),소한,대한(1)이 이 시기에 해당이 되지요.

추운 겨울이 되면 대지도 얼고 눈도 내리고 .. 밤도 깊어지지요 ..

밤이 가장 긴 시기이기도 한 동지날이 되면 팥죽을 끓여 새알심을 동동 ~~~~ 띄워서 먹지요.^^

      

55편의 동시가 수록이 되어 있는데

 

일부만 발췌해 봤어요.

각 절기와 시기별로 재미있는 동시로 표현이 되어져 있어요.

청포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는 < 단오>

견우와직녀가1년에 한번 만나는 <칠월 칠석>

전해져 내려오는 풍습과 이야기들을 재미있는 동시들이 가득합니다.

       

아이들 대상의 동시집은 어떨까 라는 막연한 편견이 있었는데

 

동시집을 보니 눈높이에 맞게 아~~주 재미있게 각 절기의 특징을 동시로 잘 녹여낸 작품이었습니다.

 

동시집이 이렇게 재미있을 줄이야... ㅎㅎ

 

동시집을 아직 접하지 못 하셨다면 아이와 함께 < 쌤통이다, 달님>을 꼭 한번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