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문
패트릭 게스트 지음, 조너선 벤틀리 그림, 이정희 옮김 / 다산어린이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블루’ 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람들에게 정신적으로 끼치는 영향이 큰 요즘이네요...
코로나로 인해 학교 수업과 학원 수업, 그 외 다양한 바깥활동을 일체 못하는 우리 아이들이 요즘 많이 하는 일은 멍하니 창문 밖을 바라보는 것이에요.
그 모습을 보고 있는 엄마는 마음이 너무나 아픕니다... ㅠㅠ




코로나로 우울하고 힘든 날들을 보내는 모든 이에게 
특히, 아이들이 읽으면 참 좋을 책을 발견했어요.

어딘지 모르게 근심스런 얼굴을 하고 있는 4명의 아이들이 창문 밖을 바라보고 있는 표지가 
왠지 우리 아이들처럼 느껴지네요.
항상 시끌벅적 하던 놀이터는 적막함이 느껴지고 거리는 회색빛으로 보이네요.




책을 다 읽고 우리 딸이 물어보더라고요.
“여기도 코로나야?”
.
.
.
어쩜 이렇게 코로나 시기와 딱 맞는 내용의 책이 있는지 깜짝 놀랐어요. 




요즘 유행하는 말, “이불 밖은 위험해” 처럼 창 밖은 안전하지 않아요.
책 속의 아이들처럼 우리 아이들에게도 생겨난 습관이 있는데요~
바로 ‘관찰하기’ 에요.
창밖으로 보이는 풍경을 보고
하늘을 바라보며 하늘빛의 변화를 느끼고
하늘의 구름을 보면서 상상력을 펼치고
새가 되고 싶다는 엉뚱한 꿈도 꿔보고...




하지만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사랑하는 마음과 반가운 마음은 감출 수가 없네요~

// 너희를 안아 주고 싶어.
어서 괴물 바이러스가 사라졌으면.....
지금은 여기에서
너희를 기다릴게.
세상 사람 모두 함께 춤추고, 입맞춤하는 기쁜 날이 올 때까지. //

엄마는 이 부분에서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어른들이 우리 아이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해 봤으면....’
하고 느꼈답니다. 




어서 빨리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라지고 
그래서, 마스크 없이 서로 만나고 얘기하는 
일상의 평온함과 행복함을 느낄 수 있는 날이 오길 바랄 뿐이에요.




첫 장을 펼치면 보이는 붉은 담벼락에 있는 담쟁이 덩쿨은 
마치 오. 헨리 소설 <마지막 잎새> 처럼 희망을 표현한 것 같았어요.
하지만 우리 딸은 마지막 장의 창문을 통해 보이는 무지개 그림이 희망을 표현한 것 같다네요~




우리도 행복한 날을 기다리며 마지막 책장을 덮었어요.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