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그맨 코딩을 부탁해 - 만화로 쉽게 배우는 코딩의 모든 것
TMD 에듀테크연구소 지음, 김상진 그림, 장윤재 감수 / 미디어숲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을 보는것 만으로 코딩의 핵심 개념을 이해할수 있어 어른이나 아이 모두에게 좋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딩 플레이그라운드 - 아이들이 즐겁게 코딩하면서 컴퓨팅 사고를 키우는 곳
마리나 유머시 버스 지음, 곽소아 외 옮김 / 미디어숲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놀이처럼 다가가는 코딩 흥미 그 자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딩 플레이그라운드 - 아이들이 즐겁게 코딩하면서 컴퓨팅 사고를 키우는 곳
마리나 유머시 버스 지음, 곽소아 외 옮김 / 미디어숲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놀이란 삶의 일부분입니다 ( ~ ~ ~ ) 결과에 대해 염려하지 않아도 되고,
행동을 충분히 실천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지요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20년전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울때,
현재 프로그램에 관심있어 서점에서 또는 인터넷에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때
언어의 기본은
언어 개요, 자료형, 변수, 명령어(for,if,while 등), 그리고 함수와 모듈 등
이러한 순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에 접근하다 보니 성인들도 프로그램 언어를 배우고자 했던 초심이 변하곤 한다.

하물며 영문으로 된 코드로 어린아이들에게 다가간다면.
아이들에겐 놀이가 아니라 배울 시도조차 할수가 없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어린아이들의 프로그램 접근 방식은 아이들의 놀이터이다.
우리가 어렸을때 갖고 놀던 레고를 상상해 보면
처음엔 높게 또는 넓게 쌓기만 하다 하나하나 추가하면서 집이 되고 자동차가 된다.
키보, 스크래치, 코드닷오알지에서 소개하는 툴들은 어른들이 배우던 프로그래밍 방식을 벗어나
하나의 성취감을 가져다 주고 상상력, 추리력을 키워주는 놀이로 다가가고 있다.
내 아이는 컴퓨터 게임을 하면서 게임에 졌다고 좌절하지 않는다.
하나하나 하면서 어떻게 하면 아이템을 획득할지 고민을 한다.

컴퓨터 게임처럼 이 툴에 접근 하는 아이를 볼때면 처음엔 직진만 그다음에 코너를 돌기위해 생각하고
다른 버튼들을 눌러보면서 하나씩 성장하며 만족감을 느끼는 우리아이을 보면 어려움이 아닌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이 책은 코딩을 어떻게 다가갔는지 아이들의 접근을 소개하며 코딩이 왜 필요한지를 안내해준다.
초등학교 아이들은 방과후에서 스크래치를 배우는데,
이 책을 통해서 부모가 스크래치가 어떤 도움으로 컴퓨터사고력을 키워주는지 생각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가 필요한 순간 - 스스로를 단련시키는 생산적 책 읽기
황민규 지음 / 미디어숲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 소개하는 글의 참뜻을 파악해가며 곱씹으며 천천히 정독하니 책을 덮었을때 머리속을 맴도는 수많은 어록들 참 좋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가 필요한 순간 - 스스로를 단련시키는 생산적 책 읽기
황민규 지음 / 미디어숲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가 내 삶에서 얼마나 차지하고 있을까?


독서의 중요성은 차고 넘치게 알고 있지만,
내 일상생활에서 항상 우선순위가 이핑계 저핑계로 뒷전으로 밀리는게 현실이다.


또한 반성한다.


"독서만 하고 사고가 없는 사람은 그저 먹기만 하려는 대식가와 같다." 조슈아 실베스터의 말처럼
배부른 돼지만 그것도 좋아하는것만 먹는 배부른 돼지는 아니었는지 지금 이 순간 생각하고 반성한다.


나도 이 책을 통해서


책을 통한 변화의 근원은 무엇인지, 책에서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힘은 어떤 것인지,
어떻게 생성되고 효력을 나타내는지 등 내 삶속에 응용화고 나 자신을 변화시키고 싶다.


깊이 있는 독서 내공에서 찾은 생산적 책 읽기는...


1. 머리로 읽고 가슴에 새겨 온몸으로 실천한다.


2. '할 수 없어.'를 '할 수 없어?'로 읽으면 생각의 문이 열린다.
   이처럼 마침표를 물음표로 바꿔서 읽는다.


3. 모든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난다고 했다.
   선택과 집중을 위해 독서 방법에서도 파레토의 20 대 80 법칙 적용은 유용하다.


4. 책을 읽으면서 메모할 때마다 생각은 무한 확장된다.


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같은 SNS를 통해
   독서 내용을 공유하고 생각을 나누며 서로 교감한다.
   감동받은 문장이나 생각, 짧은 에세이 또는 간단한 서평이라도 좋다.


6. 한 자 한 자 베껴 쓰다 보면 사색의 즐거움을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