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과 달 -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책고래 클래식 8
이지숙 지음, 조지 맥도널드 / 책고래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동화 <바람과 달>은 조지 맥도널드의 작품이다. 시인이며 소설가, 교회의 목사이기도 한 그는 어린 친구들을 위한 시와 소설을 썼다고 한다. 아동작가는 아이들의 동심을 아끼는 마음과 자세로 자연을 바라보며 어떠한 메시지를 전하고자 하는 태도를 견지하는데, 이 동화에서도 역시 그가 아이들에게 전달해주고픈 주제가 있다.

 

이 동화에서는 바람과 달이 등장한다. 첫 페이지부터 바람은 느닷없이 달을 날려버리겠다고 아우성치며 호언장담한다. 이렇게 내 바람으로 달을 저 멀리 날려 버릴 거야!!’ 그래서 그렇게 실행한다. 그러나 잠시 날려버려진 것처럼 보였던 달은 어느새 다시 나타난다. 이에 화가 난 바람은 다시한번 달을 날려버리기 위해 큰 바람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또다시 달이 날라가려는 듯, 사라지려는 듯 보이는 듯했지만, 역시 그 자리를 지키고 섰으며, 심지어는 보다 환한 빛을 내고, 더 큰 모양을 갖춘 달로 거듭나기에 이른다. 이에 당황은 바람은 태도를 바꿔 오히려 자신이 그러한 밝은 달을 다시 불러온 것처럼 꾸미기에 바빴지만, 저 멀리 하늘에 떠 있는 커다란 달은 전혀 움직임 없이 그대로 하늘에 매달려있다. 마치 잔물결에 신경을 쓰지 않고 고귀하며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면서 여유 있게 빛을 비출 뿐이다.

 

이 동화에서 우리가 접할 수 있는 가르침은 작은 고난과 방해물에 대해 큰 사람은 전혀 흔들림이 없거나 신경을 쓰지 않고 자신의 본분에 충실하다는 점이다. 하늘의 달은 구름에 가려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상에 은은한 달빛을 내려 보낸다. 그게 달의 태생적 본분이다. 아무리 자잘한 바람이 그것을 훼방하려고 했음에도 전혀 흔들림이 없었다. 이를 우리의 일상에 비유한다면 자신이 품고 있는 큰 뜻은 작은 일상의 훼방에도 전혀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람이 사는 사회에서는 온갖 사람이 모여 집단생활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다양한 의견 충돌과 이견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대한 우리의 태도는 어떤 적대적 관계에 있기 보다는 수용적 자세를 유지하며 자신의 본분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자신의 존재 가치에 대한 정확한 해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