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으로 산다는 것 -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시대 27명의 왕을 드라마나 학창 시절의 국사 시간을 통해 배우고 들어왔는데요, 그들의 업적들과 일생을 바라보는 순간 정말로 왕이라는 가장 높은 지위에서 어떻게 백성들을 다스리고 나라를 통치해야 국가가 발전하는지를 배울 수 있었어요. 그 만큼 가장 높은 자리에서 통치하는 입장에서 바라볼 때 조선시대 임금들로부터 정말로 많은 배울 점들이 많고 또 비교가 되고 있음을 느끼게 되네요.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을 보자마자 지금 우리나라에서 시끌벅적한 비선실세를 통해 현직 대통령이 탄핵이 되어서 그런지 앞으로 있을 대한민국 19대 대통령 선거가 기대가 되고 똑바로 투표를해야지 다신 이러한 비극으로부터 대한민국을 살릴 수 있겠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가장 권위가 높았고 왕권이 강했다던 세조를 통해서 지금 우리나라에 필요한 것이 선명지견이 높은 정치와 통치 그리고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힘과 윤리성 모두를 두루 갖춘 사람이 대통령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세조의 특기한 점이 왕권강화 뿐만이 아니라 신하들에게 골고루 균등한 힘을 분배를 해줌으로써 그들이 사익을 위해서 정치에 이용하는 것을 막고자 고루 많은 신하들과 번갈아 가면서 술자리를 가졌다는 점에 있었어요. 아첨하는 신하, 강직한 신하들을 고루 접하면서 그만의 강력한 정치를 펼쳤다는 점에 있어서 앞으로 있을 대통령에게 많은 점을 시사하는 바가 아닌가 생각이 들었어요.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로 조선시대의 임금들로부터 많은 배울 점들이 있었음을 배우게 되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