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쪽으로 튀어! 1 ㅣ 오늘의 일본문학 3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06년 7월
평점 :

전설의 투사, 제 세상을 만나다
공중그네와 인더풀의 작가 오쿠다 히데오의 책
우선 전작에서 보여주는 유머를 이 책에서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다시 말해, 오쿠다 히데오 스럽지 않은 오쿠다 히데오의 책입니다.
쉽게 읽혀지는 책이지만 쉽게 읽어서는 안 될 책이기도 하구요.
- 남쪽으로 튀어! 남쪽으로 가면 무엇이 있길래요?
주인공인 지로의 눈으로 보여지는 아버지 이치로는,
스스로는 아나키스트라고 주장하지만 (아나키스트가 뭔지도 모르는 초등학교 6학년 지로의 눈으로 보기에는) 그냥 초절정 구제불능인 한 사람일 뿐입니다.
집에서 놀고 먹으면서 크고 작은 말썽이나 일으키며 다니는 아버지.
그러다가 결국 큰일을 저지르고 남쪽 오키나와로 가족 모두가 도피하듯 이사를 가야 하는 처지에까지 이르게 됩니다.
그러니까 제목에서 말하는 남쪽이란 오키나와를 뜻하는 것이기도 하고, 이치로가 생각하는 이상향이 되기도 합니다.
처음 이 책을 읽으면서 저는 사실,
이치로 같은 이런 무대책의 사람이 국가의 규제 아래 살아가기란 너무나 힘들겠구나, 물론 사람마다 추구하는 이데올로기는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은 그렇다 치고 가족까지 무슨 잘못이라고 이렇게 힘들게 하는가? 생각 되어 이치로의 행동에 경멸과 동시에 분노가 치밀었습니다.
아무리 거부하고 싶어도 우리는 지금 법치주의 국가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규정된 것을 지켜갈 때 그 틀 안에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살아야만 손해 보지 않는 삶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이치로를 이해하지 못할 수밖에요.
그런데 2권의 마지막 부분에서 저는 마음이 찡해지고 눈물이 났어요.
오키나와로 가서도 아버지 이치로는 (이러저러한 일로) 공권력에 대항하다가 오키나와를 떠나 다른 섬으로 가게 됩니다. 그리고 아들 지로에게 말합니다.
"지로, 이 세상에는 끝까지 저항해야 비로소 서서히 변화하는 것들이 있어. 노예제도나 공민권 운동 같은 게 그렇지. 평등은 어느 선량한 권력자가 어느 날 아침에 거저 내준 것이 아니야. 민중이 한 발 한 발 나아가며 어렵사리 쟁취해낸 것이지. 누군가가 나서서 싸우지 않는 한, 사회는 변하지 않아. 아버지는 그중 한 사람이다. 알겠냐?"
왠지 모르지만 이런 내용을 읽을 때 저는 사학도라는 것이 감사하고 자랑스럽더라구요. 좀 더 깊게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나 할까요?
공교롭게도 며칠 전에 제가 좋아하는 한 사람은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제가 좋아하는 다른 한 사람은 세상을 더욱 사랑하기 위해서 살아간다고 하는 말을 들었습니다.
"나는 무엇을 위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 생각했습니다.
나는 지금, 나의 행복을 위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나의 행복추구를 위해 살아간다는 것은, 물론 나쁜 일은 아니지요.
하지만 지금의 나는 다른 사람의 행복을 생각할 여유 따위 없습니다.
어떤 것이 옳은 것인지도 모르고, 그저 나의 안위를 추구하고 있지요.
나는 지로의 아버지 이치로 상을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냥그냥 국가의 틀 안에서 대충 살아가면
행복하게-
물론 사소한 고민들은 있겠지만, 그것들은 내일이면 잊혀지는 것들.
모두의 행복과 정의를 추구하기 위해 애쓴다는 것은 힘이 듭니다.
팍팍한 현실에서 그것은, 자신의 행복을 포기해도 좋다는 것과도 마찬가지라는 뜻입니다.
사실 책의 등장인물인 이치로가 무조건 옳다고 말할 수는 없겠죠.
이치로는 다만 무정부주의자일 뿐, 사회의 약자를 위해 힘쓰는 영웅으로 그려지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그는 자기가 생각하는 바를 실천에 옮깁니다. 다수에 저항합니다. 끝내는 자기가 질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요. 자신의 낙원을 지키기 위해서 말이죠.
나는 이치로 뿐만이 아니고 그가 말한 '다수에 저항하는 사람들'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이상향을 추구하는 사람들. 물론 이상향이라는 건 추상적이며, 아직 펼쳐지지 않은 세상이기 때문에 그들 또한 싸우면서도 계속 흔들렸을 것입니다. 어떨 때는 자신이 믿고 있는 것이 옳은 일인지 두려웠겠지요.
그렇지만 그들은 노력했고, 희생했고, 세상을 바꾸었습니다.
현재의 우리 사회에서도 물론 세상을 더 좋은 곳으로 바꾸기 위해서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많은 사람들은 그들에게 신경을 쓰지 않으며, 그들이 만들고자 하는 사회가 어떤 곳인지 들어보려 하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사회는 그런 사람들이 노력함으로써 바뀌어집니다. 희생하는 사람들이 있고, 그 희생을 딛고 다시 세상은 발전합니다.
나는 나약한 인간이니까,
그래서 눈물이 났습니다.
내가 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서 실천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의 위대함.
강한 의지를 가진 위대한 사람들을 나는 부러워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오늘의 나는 이것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