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교실 이야기 파이 시리즈
김규아 지음 / 샘터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이 되니 왠지 읽고 싶어졌다. 역시, 밤에 읽기 좋은 책이었다. 이토록 밝은 느낌의 밤을 그려낸 책이 또 있을까. ​잔잔하고 따듯한 감성의 그래픽 노블, 『밤의 교실』의 특별한 음악 수업에 당신을 초대하고 싶다.

색연필로 그렸다는 그림은 상당히 섬세하다. 글밥이 많은 것도 아닌데, 꽉 차 보인다. 작가가 한 컷 한 컷 공을 들인 그림을 쓱 지나칠 수 없었다. 책 속의 추천곡을 찾아 들으며 찬찬히 넘겼다. 조지 거슈윈의 '랩소디 인 블루'와 '문라이트 세레나데'는 책의 분위기와도 잘 어우러지는 곡이었다. 단숨에 다 읽고 나서도, 한동안 나는 이 책의 분위기에서 헤어 나올 수 없었다. ​그야말로 읽는 이의 감성을 자극하는 책이다. 재즈 음악처럼.

언제부터인가 정우는 엄마와 따로 살기 시작했다. 무엇이 문제였는지, 이제는 해결이 된 것인지, 정답을 알 수 없을 때면 정우는 수학 문제를 풀었다. 무미건조하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던 정우가 송이와 늑대 선생님을 만나면서 생기를 되찾는가 싶었는데... 정우에게 '끝없는 밤'이 올 수 있다니.

점점 시력을 잃어가는 정우는 '다들 똑같이 밤이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할 만큼 자신에게 찾아온 밤이 무섭고 싫었다. 그러던 정우는 늑대 선생님으로부터 어둠을 사랑하는 법을 배운다. 정우의 눈은 점점 어두워지겠지만, 그것이 여전히 무섭고 겁이 나지만, 그럼에도 정우는 미소를 짓는다. 어둠 속에서도 수많은 별을 찾을 수 있고, 늑대처럼 강하고 용감하고 똑똑한 자신을 믿기에. 아마도 정우는 달빛처럼 어두운 곳을 비추며 살고 있을 것이다.

이 책이 말해주듯, 인생은 하나의 곡을 완성해 나가는 과정이지 않을까. 잔잔하거나 웅장하거나 경쾌하거나 중후하거나 혹은 여러 가지 분위기가 어우러져 있는 곡일지도 모른다. 내 삶은 "어떤 음악이 될까?" ​조지 거슈윈의 '랩소디 인 블루' 같은 음악이면 좋겠다.

'내 삶의 연주자는 바로 나'라는 것도 가르쳐준다. 나는 삶을 "어떻게 연주하고 있는 걸까?" 정해진 악보대로가 아닌 자유롭게 연주하고 싶다. 인생은 수학 문제처럼 확실한 답이 있는 것이 아니니. 나의 감각과 감정과 생각에 귀를 기울이며 나만의 곡을 연주하고 싶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기억해 둔다면 어둠이 와도 덜 무서울 거야." 이 말이 "마음속으로 스며들었다." 때때로 삶에 끝이 없을 것 같은 어둠이 찾아오더라도 사랑하는 사람들, 그들과의 행복한 순간들을 기억한다면, 그렇게 "어둠 속에서도 수많은 별을 찾을 수"만 있다면, 어둠이 덜 무섭지 않을까.

이 책은 심리치유서라 해도 손색이 없다.​ 작가가 심리학을 공부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렇지 않고서는 그려낼 수 없는 이야기다. 그래서 더더욱 추천한다. 달빛처럼 우리의 삶을 비추고 있는 『밤의 교실』, 이 책이 주는 밝은 감성에 취해보길.

#밤의교실
#김규아
#샘터
#물방울서평단
#창작동화
#그래픽노블
#음악
#음악수업
#상실
#시력상실
#실명
#조지거슈윈
#랩소디인블루
#문라이트세레나데
#감성동화
#친구
#우정
#가족
#사랑
#행복
#밝은감성
#힐링
#심리치유
#강력추천
#서평
#서평단
#책리뷰
#독후감

(원문: https://m.blog.naver.com/counselor_woo/2219263409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