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달인이 되려면 잘못된 문장부터 고쳐라 - 우리가 몰랐던 명문장의 진실
박찬영 지음 / 리베르 / 201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글쓰기 달인이 되려면 잘못된 문장부터 고쳐라


글쓰기를 좋아하고 글쓰기 경향성을 주목해야 하는 직업이라서 글쓰기 관련 서적이 나오면 바로 훑어보는 편이다. 그리고, 글쓰기 달인이 되고 싶은 나는 이 책의 제목인 <글쓰기 달인이 되려면 잘못된 문장부터 고쳐라>를 보자마자 잡아들었다. 아무리 글을 잘 쓰는 사람이더라도 반복적으로 문장을 쓰다보면 잘못되었는지 감각이 없어져 자신도 모르게 비문에 노출되고 익숙해지고 만다. 이 책은 그러한 실수를 줄이고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아주 사소한 기법과 조건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인 박찬영은 언론인 출신으로 글쓰기 문화를 고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박찬영은 책을 통해 문장의 달인이 되는 27가지 법칙을 소개하고 있다. 아무래도 저자가 영어과 전공자에 미국 시사주간지 편집부장을 거쳤기 때문에 번역투, 수동태, 또는 문장 성분에 대한 내용을 우리말에 적합하게 잘 서술하고 있는지 알려주는 부분이 궁금했다. '글쓰기에 대한 것'이 아니라 '글쓰기 자체'를 익혀야 한다고 말했던 저자의 의견을 참고하여 '글쓰기 자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놓치지 말아야 할 글쓰기의 기본은 무엇인지 엄밀하게 따져 가며 책을 읽었다. 목차는 파트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파트1의 경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바른 문장의 개념에 대해 나와 있다. 이미 너무나 많은 도서에서 다룬 내용으로, 숨은 주어를 찾거나 문장 호응에 대한 부분, 꾸미는 말, 수식어, 조사, 접미사 등 단어 성분을 기준으로 삼아 유의해야 할 점을 써놓고 있었다. 그리고 예로 들 때, 간혹 영어를 견주어 서술하기도 하였다. 다른 책과 비교하면 오히려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이론적인 부분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어떤 이들은 체언이 무엇인지, 독립어가 무엇인지 호격조사가 무엇인지 헷갈릴 수가 있다. 다른 글쓰기 도서에 비해 영어와 비교하여 비교적 자세하게 성분을 밝히는 것은 이 책의 장점이기도 하고 단점이기도 하다. 파트2에서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글을 잘 쓰는 이들'의 사소한 실수를 언급하고 있다. 책을 읽기 전에는 유시민, 이외수, 공지영, 유홍준 등 이런 사람들의 글쓰기 강점을 서술한 부분일거라 예상했는데 오히려 정반대였다. 이 사람들이 우리말의 특성에 기인한 실수를 발견하고, 몇 가지를 수정하면 좋겠다 하는 일종의 제언이 들어가 있다. 내용을 읽었을 때 기발한 것도 더러 있었으나 황당한 부분도 있었다. 글을 쓰는 것은 목소리처럼 개인의 특수성과 가치관이 반영된 산물이라고 생각한다. 과연 저자가 그들의 문장을 지적한 것에 찬성하는 것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었다. 그리고 묻고 싶었다. 과연 저자는 본인의 문장이 굉장히 완벽하다고 생각하는가. 만약 제3자가 저자의 문장을 지적하고 든다면, 인정하겠는가. 마지막으로 이 책을 다 읽고 그가 지금까지 쓴 다른 책들도 읽어보고 싶어졌다. 만약 저자가 타인의 글에서 지적한 실수를 본인의 글에서는 철저히 실수하지 않았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만약 찾아내면 어떻게 할 것인가 등 이러한 의심이 들 정도로 단호하고 명확한 그의 서술은 어떤 대목에서 때때로 불편하기도 했다.


이 책을 읽기 전에 27가지 법칙이 명료하게 잘 설명되었는지, 다른 책과의 차별점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그런데 사실 27가지 법칙을 따져보았을 때, 서술이 잘 된 부분도 있었으나 예문이 너무 많아 난잡한 부분도 있었다. 쉽게 읽혔지만 난해한 부분도 있었다. 글쓰기 도서로 보았을 때 기대했던 것에 비해 만점도서라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그럼에도 이 책을 한 번쯤 읽어볼만한 책으로 꼽는 이유는 단 하나, 차별성이다. 대중적인 글의 오류를 점검할 때 유명인의 저서부터, 소설, 칼럼과 사설까지 예로 든 것이 흥미롭다. 나도 면밀히 보았던 부분이기도 했고, 저자가 제시하는 면들이 독자에 따라 와닿는 바가 다르겠지만 시도 자체는 참신했다. 아쉬운 면면이 적지 않아 책을 덮으면서 나중에 다시 읽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 생각이 바뀔지도 모르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