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부자 16인의 이야기 - 조선의 화식(貨殖)열전
이수광 지음 / 스타리치북스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조선 부자 16인의 이야기


조선시대 공부를 할 때마다 주목해야 하는 것이 계급사회의 변화 양상이다. 조선 후기로 넘어가면서 신분제도가 완화되고 돈을 주고 양반을 사는 서민이 나타났다. 주목할 것은 계급을 바꾸는 것도 개인의 능력보다는 결국 돈, 이를 테면 '부'라는 경제적 가치였다는 점이다. '부'라는 가치는 시대를 막론하고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유리한 패가 되었고 '부'는 권력이고, 심지어 현대에서는 생존기본권이 되었다. <조선 부자 16인의 이야기>는 책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시대에 존재했던 16명의 부자에 대한 이야기이다. 오늘날에도 착한 부자, 나쁜 부자 있듯이 이 책에도 다양한 부자가 나온다. 이 책은 어떻게 재산을 늘이고, 분배를 하는지, 돈의 가치를 어떻게 인식하고 지출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드러나 있다. 


책에 등장하는 16명의 부자는 백달원, 한순계, 허홍, 변승업, 김기연, 김근행, 김세만, 강경환, 엄웅찬, 김만덕, 김생, 임상옥, 경주 최부자, 장석보, 최재형, 이경봉이다. 몇 명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백달원은 소금장사를 했다. 한순계는 유기장인이었다. 조선에서 가장 좋은 놋그릇을 만드는 일을 했다. 허홍은 몰락양반이었는데 담배 농사를 지어 집안을 일으켰다. 변승업은 역관이었다. 역관 변씨는 돈을 버는 과정보다 선행을 베푼 이야기가 유명하다. 이처럼 인물마다 어떻게 돈을 벌었고 어떻게 돈의 가치를 생각했으며, 그 돈을 어디에 썼는지 일화가 나와 있다. 재미 있는 역사 이야기를 읽을 수 있어 흥미로웠다. 이 책에 재미 있는 점은 또 있다. 마지막 381쪽 나오는 글에 "부자 되는 법"을 서술해 놓았다. 조선시대 부자가 되는 법은 3가지가 있었다. 과거에 급제해 높은 벼슬에 오르는 것, 농업을 하여 땅을 많이 소유해 지주가 되는 것, 장사로 돈을 버는 것이었다. 그중에서도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게 상인이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오늘날 내가 사는 시대에는 어떻게 부자가 될 수 있을까. 작가는 말한다. 뜻을 세워야 하고, 목숨을 걸고 실천하고, 절약하고 또 절약하며, 성공하려면 근면해야 한다고 말이다. 그리고 부자에게는 사회적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나는 아직 부자가 아니라서 모르겠지만 작가의 말처럼 부자의 소중한 가치는 축적보다 분배에 있어 보인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조선시대와 우리가 사는 현대의 부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조선시대의 부자들이 선행했던 것처럼 현대가 철저한 황금만능주의, 자본주의 사회라고 해서 부를 축적하고, 환원하는 사례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얼마 전 롯데호텔 앞에서 75세 택시 기사가 외제차 4-5대를 박아 수리비를 물어내야 하는 사건이 있었다. 하루 벌어 하루 사는 서민에게 몇 억의 부담은 아마 수명을 줄일 정도로 극도의 스트레스였을 것이다. 그런데 며칠 후, 롯데그룹에서 나서서 외제차의 수리비 4억을 대신 지원하겠다고 나섰다. 자신들의 호텔에서 일어난 일이니 선행을 하겠다는 의도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롯데그룹이 칭찬받을 만하다고 생각한다. 외국의 빌게이츠도, 우리 나라 굴지의 기업들도 사회적 환원을 위해 다양한 연례행사를 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런 사례가 늘었으면 좋겠다. 


<조선 부자 16인의 이야기>는 가볍게 읽기 좋은 도서이며 청소년들이 읽어도 좋은 교양서이다. 그러나 책의 무게가 많이 무겁다. 어린 학생들의 손목이 다칠 수 있을 정도이다. 차라리 몇 권 시리즈로 나누어 냈으면 좋겠고 그림책이나 만화로 각색해 출간되어도 좋을 것 같다. 책을 처음 펼칠 때는 나도 부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었는데, 책을 덮을 때는 여유 있는 마음가짐으로 슬기롭게 인생을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