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지혜 - 내 삶의 기준이 되는 8가지 심리학
김경일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읽는 #심리학 책. #김경일 심리학자의 책이다.

유튜브와 방송에서 많이 뵈었던 김경일 교수.

전 국민의 마음 멘토, 김경일이 전하는 ㅏ람, 성공, 돈에서 자유로워지는 생각의 지혜들. 역시 읽으면서 좋구나라는 느낌이 제법 오래간 책이다.

스스로를 인지심리학자라고 소개를 하면서 인지심리학은 사람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따뜻하고 말랑말랑한 공부가 아니라 머리를 싸매고 분석해야 하는 극악한 이과 학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복잡하고 냉정하기까지 한 이과 학문 연구자가 "마음의 지혜"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많이 어려운 이야기인 것 같지만 그래도 읽으면 어려운 문제를 해결까지는 아니더라도 마음의 위로를 받는 건 아닌지. 그 정도까지만 이라도 충분한 게 아닌가 싶다.


<책 속으로>

이 책은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사람을 대하는 지혜, 2장 행복을 만끽하는 지혜, 3장 일을 해나가는 지혜, 4장 사랑을 지키는 지혜, 5장 돈에서 자유로울 지혜, 6장 성공을 꿈꾸는 지혜, 7장 죽음을 준비하는 지혜, 8장 그래도, 미래


사람을 대하는 지혜에서 MBTI 이야기가 나온다.

MBTI는 성격 검사가 아니라 지난 3~4년간 내가 어떤 사회적 얼굴로 살아왔는지 비추는 거울이라고 생각하자고 말이다. 그래서 MBTI 검사 결과는 종종 바뀐다고.

그래서 MBTI에 나오는 네 개의 알파벳으로 누군가의 모든 것을 판단하려고 하는 건 어리석고 성의 없는 생각이라고, 그래서 서로가 다른 존재라는 것. 그렇기에 우리 사회가 더욱 풍요롭고 다채롭다는 것을 알고자 한다는 것을 말이다.

"욕구의 표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솔직하게 밝힐 줄 아는, 그리고 품위를 잃지 않는 사람이라고 한다.

알아서 하는 게 아니라 솔직하게 원하는 것을 말하는 사람이어야만 사람과의 관계에서 개선이 되지 않을까?

앞으로 내가 원하는 것을 솔직하게 말하는 사람이 되도록 하자.

행복을 만끽하는 지혜에서는 "행복은 목표가 아니라 도구다"라며 서은국 교수의 「행복의 기원」이라는 책에서 나온 문장을 소개한다.

"살기 위해, 버티기 위해, 행복해야 한다."

"인간은 살기 위해 행복해야 한다."

"행복을 경험한 개체는 생존성이 강해진다."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이들이 가진 생명력 중의 하나는 무엇인지 연구한 내용 중 하나가 '행복'이었다는 사실이다. 수용소에 들어오기 전까지 얼마나 행복한 삶을 살았는지가 살아남는 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살아야 할 분명한 이유가 행복이라서, 자주 많이 경험한 사람은 그 행복을 잘 알기에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행복은 크기가 아니라 빈도입니다."

사소하기 짝이 없는 한두 줄의 기록. 기록의 쓸모라며 난중일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일을 해나가는 지혜 "나의 일을 명사로 규정하지 말라는 것" 동사를 수반하면 더 많은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한다. 보통 직업은 명사로 규정되는 게 대부분인데. 동사로 하면 더 많은 가능성이 펼쳐진다고.




p127

"에이, 어떻게 사장되는 게 꿈이에요? 사장돼서 뭘 하고 싶은지가 꿈이지."

우리는 종종 꿈과 직업을 동일한 뜻으로 받아들입니다. 하지만 심리학자들의 생각은 달라요. 꿈은 동사고 직업은 명사이기 때문입니다.

명사인 '사장'은 꿈이 될 수 없습니다. 꿈을 이룬다고 해서 행복이 뒤따르지도 않을 거예요. 하지만 동사로 수반한 꿈은 질적으로 다릅니다. 사장이 되어서 무엇을 하고 싶은지 확실하게 꿈궜던 사람은 그 자리에 올랐을 때 남과 다른 인생을 살게 됩니다.

> 사장이 돼서 뭘 하고 싶은지가 꿈이라, 동사를 수반한 꿈...

확실하게 꿈꿨던 무언가가 있어 그 자리에 올라갔을 때, 그 꿈을 이루고 남과 다른 인생이 되는 것이다.




p130

'내가 상무 되면 저걸 해봐야지'

'내가 상무가 되면 꼭 저걸 없애야지.'

'내가 상무가 되면 저 분야를 활성화시켜야지.'

평소 이런 생각을 하던 사람이 임원이 되면 무엇을 할까요?

당연히 오랫동안 생각해 온 그 일을 지체 없이 해낼 것입니다(중략).

내가 하는 일,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을 동사로 표현해야 합니다.

미래에 어떤 직업을 갖고 싶은지가 아니라 어떤 행위를 하는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 동사로 표현해야 한다?, 동사라.

내가 나중에 뭐가 되면 저걸 해봐야지라는 게 있었다.

그렇게 생각해 온 것들이 있었기에 저 문장을 보면서 생각이 나게 한다.

저걸 꼭 해봐야지라는 것을.



p138

우리 사회의 꼰대: 낮은 개방성, 높은 성실성, 높은 우호성

기업가 정신: 적정한 우호성, 높은 개방성

> 성격을 이루는 다섯 가지 요소라고 하는데, 개방성과 우호성이 유사해ㅓ 혼돈이 많다는 것.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 살고 있는 우리는 우호성이 지나치면 개방성이 떨어지고, 또 우호성을 낮춰버리면

개방의 기회조차 없어진다는 사실을 기억하면서 사람들 속에서 우호성과 개방성을 잘 맞춰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며 살아가는 건 어떨까?

<책을 마치며>

오랜만에 마음에 위로가 되는 책을 읽었던 것 같다. 마음이 참 편한 느낌을 주는 책이다. 많은 생각을 하게끔 만드는 책이기도 하다.

흔히 사람이 살아가면서 배운 지혜들은 스스로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딱 꼬집어서 여덟 가지 지혜라는 것에 국한시키는 것이 좀 아쉬움이 있지만 여덟 가지에는 많은 연관성을 보이고 각 지혜마다 관련이 있어 보인다.

지쳐있는 내게 기운을 주는 책이었다. 두고두고 옆에 두고 싶은 책 중 한 권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