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삼문의 약속 - 조선의 충신들
성해석 지음 / 북새바람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삼문이라 하면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성삼문은 사육신으로 더 유명하다. 사육신은 단종 복위에 목숨 바친 여섯 명의 인물을 부르는 말이다.

사육신은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 이렇게 6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고 보니 이 소설에 등장하는 성균관 유생 시절부터 함께 한 이름들도 보인다.

젊은 시절부터 함께 수학하면서 그때부터 같은 뜻을 꾸고 있었던 건 아니었을까? #성삼문의약속 이라는 책을 읽기 전에 #성삼문 이라는 인물과 #사육신 이라고 불리는 그들에 대해 지나가듯 한번 찾아보게 되는 것 같기도 하다.


소설 「성삼문의 약속」은 단종 복위 운동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조선 전기 단종 복위 운동을 주도한 금성군으로 인해 순흥 소수서원 앞

죽계계곡에는 피가 흘러내린 것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그만큼 세종의 둘째 아들이었던 수양대군은 문종이 죽은 후,

어린 단종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세조 임금이 된다.

명분 없는 왕위 찬탈은 종묘사직을 혼란스럽게하는 명분이기에,

집현전 학사들은 이 상황에 반기를 들어 항거를 하게 된다.

명분 없는 왕위 찬탈에 학식과 덕망 있는 집현전 학사들의

상식에는 맞지 않았기에 세조의 단종 폐위는 허용과 납득이 

되지 않는 일이었던 것이다. 

그중 한 사람이 성삼문이며, 또 다른 이가 박팽년이었다.

어릴 때부터 박팽년의 부친을 스승으로 함께 수학 한 두 사람이다.

박팽년이 먼저 그 이후에 성삼문이 이 세상을 뜨게 되었다.

바로 역모죄에 해당되었기에 중형으로 다스려지게 되고

삼족은 물론 가솔들까지도 같은 운명에 처하게 된다.

절개와 충정이 가득찬 성삼문이 가졌던 유교적 가치와 가르침은

지금도 현대인들에게 많은 귀감이 되는 것 같다.

저 시조 중고등학교 시절에 시험에 자주 나왔던 시조였던 걸로 기억을 한다. '독야청청'이라는 문구와 대비되는 문구는 '백설'이라면서.

한 주인만을 섬기겠노라며 다짐하며 지었다는 시조로 성삼문의 기개와 충정이 아주 잘 표현된 작품이 아닌가 한다.

성삼문이라는 인물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

그저 이름과 시조 정도만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이 책을 읽고 나서 성삼문의 어릴때부터 

자라면서까지 그의 일대기를 살펴볼 수 있었다. 

온갖 고문으로 앉아 있기조차 힘든 상황임에도 

회유에 넘어가지 않고 충직한 모습을 보인 성삼문. 

과연 나였다면 저 상황에서 저런 충직한 모습을 보일수 있었을까? 

책을 읽으면서 나를 돌아보는 시간이 되기도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