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칠 때 뇌과학 - 지친 뇌는 나를 위해 작동하지 않는다
에이미 브랜 지음, 김동규 옮김 / 생각의길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살다 보면 혹은 너무 많은 일들을 하다 보면

잠시 번아웃이 일어나는 경험이 있을 것이다.

내가 무엇을 했는지 좀처럼 기억이 나지 않는 그런 경우를 말이다.

이럴 때 우린 뇌가 한계에 왔다고도 하고 많이 지쳐있기에

휴식이 필요하다고 느끼기도 한다.

지친 뇌는 나를 위해 어떻게 작동하는지?

혹은 뇌가 지치면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지친 뇌는 어떻게 관리해야 제대로 작동할 수 있을까?

몸이 지치면 뇌도 자연스럽게 지쳐가지 않을까?

최근에 들면서 뇌과학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지고 있다.

과학적인 이야기와 그 결과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아주 잘 나타내고 있다고 한다.

뇌과학은 우리 자신을 들여다볼 가장 과학적인 또 하나의 방법이라고 한다.

뇌과학을 통해 자신을 들여다본 사람들은 자신감을 되찾고 힘을 얻을 수 있다.

나를 들여야 볼 또 하나의 방법인 뇌과학.

뇌를 잘 몰라 쓸데없이 나 자신과 싸우고 있는 건 아닐까?

아직 일반인들이 잘 알지는 못하지만

뇌과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의 공부를 시작해 보자.


#지칠때뇌과학 목차다.

1부: 나 - 뇌는 어떻게 최적화되는가?

2부: 관계 - 뇌는 어떻게 타인과 효과적으로 협력하는가?

3부: 조직 - 성과를 내는 환경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이 책 「지칠 때 뇌과학」은 뇌과학에 대한 어려운 연구에 대한 결과물이나 연구논문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다. 다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살아가면서 어떻게 하면 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들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위 목차에서 보듯이 1부에는 나와 뇌의 최적화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1부에는 '뇌의 최적화'를 주체로 뇌를 최적화하기 위한 필요조건과 함께 뇌를 객관적으로 보기 위한 상황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2부는 타인과의 관계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균형 잡힌 삶을 계획하는 것부터 삶의 업그레이드 방법과 동기부여와 회복탄력성까지 모두 다루고 있다. 3부에는 조직-성과를 내는 환경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심리적인 부분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우리 뇌를 지치게 만드는 스트레스, 부정적인 감정이나 기분, 나쁜 습관, 열악한 시간적 압박 등 우리가 살면서 만나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모든 문제들을 경험할 때 뇌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방식을 알려주기도 한다.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수많은 문제들을 대면할 때 이번에 읽었던 #지칠 때 뇌과학을 생각하면서 우리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을 발견하고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습관과 행동의 변화를 만들어 인생의 중요한 기회를 만들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옛말에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라고 했다.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지금 나의 상태는 어떤지를.

약간의 과부하가 걸리고 삶이 힘들다면 잠시나마 휴식을 취하면서 뇌도 같이 휴식하게 하는 건 말이다.

휴식을 통한 최적화를 통해 더 좋은 결과를 유도할 수 있게 말이다. 지칠 땐 잠시 뇌과학을 통한 휴식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