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어떻게 살래 - 인공지능에 그리는 인간의 무늬 한국인 이야기
이어령 지음 / 파람북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이어령 선생님의 #이어령의마지막수업 을 최근에 읽었다. 생에 마지막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살아오면서 알고 지냈던 지식들을 온전히 펼쳐 보였던 책이었다.

저자의 엄청난 지식의 양을 확인할 수 있었던 책이었던 것 같다.

이 책 이전에도 이어령 선생님의 다양한 책들을 읽지는 못했고 제목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차츰 선생의 책을 읽어보는 계기가 많아지는 것 같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마지막 수업과는 다르게 #너어떻게살래 는 또 다른 종류의 책이었다. 오랜시절 전해 오던 전래동화를 통해 인공지능과 비교해서 삶과 접목시키는 선생님의 노력들을 보게 되었다. 지금에 와서 회자되고 있는 인공지능 즉 AI에 대하여 그 새로운 앎으로 소개해 주는 것 같은 책이다.



<책 속으로>

책의 처음에 선생님은 이렇게 표현했다. "호주머니 속의 초록 인종"이라고. 어느 순간 우리들의 호주머니 속에 들어와 있는 것, 있으면 별 도움은 안 되지만 없으면 또 뭔가 아쉬운.

선생의 표현을 빌리면 "신체 일부가 된 도구"가 이미 된 것이 아닌지를 말이다. 생활 속의 일부가 아닌 전부가 되어버린 초록 인종, 인간의 편리를 위해 만들어진 도구가 나중에는 인간이 그 기구에 노예가 되는 건 아닐지. 그런 생각까지 들게 되는 현실이다.

우리는 알파고를 잘 알지 못했다. 녀석이 서울에 나타나기 전까지 AI라고 하면 그건 당연히 조류독감이었다(중략).

알파고 포비아는 '네오포비아', 새로운 것을 싫어하는 현상이다(중략).

사자는 새것을 싫어하고 안주하는 동물이다. 먹으면 잔다. '잠자는 사자'라는 말은 은유, 메타포가 아니다. 실제로 동물원에 가보면 사자는 늘 자고 있지 않던가. 하지만 호랑이는 똑같이 울안에 가둬놔도 끝없이 어슬렁거리고 무언가를 찾고 포효하고 새것을 찾아 도전한다.

p38~p40

> 새로운 것에 대한 두려움이 내재된 인간이란 종족. 이는 단순히 새로운 것을 싫어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본인이 새로운 것을 알아야 한다면 싫어한다고 해서 하지 못할 건 아니라고 본다. 해야 하니까.

도전이란 것이 어쩌면 삶에 꼭 필요한 것이 아닌지 어쩌면 당연한 것 인지도 모를 일이다. 그래서 인간이 지금까지 발전하고 더 개선되어 살아가고 있는 건 아닌지 그런 생각을 해 본다.

4 이세돌 고개 상대는 로봇도 서양 귀신도 아니다. 이세돌이 앉은 외로운 자리

P88~94

> 이어령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했던 말들이 적혀있다. 알파고가 인류의 멸망을 시키느냐 그런 이야기가 아니라 알파고 앞에서 무슨 일을 시작해야 하는지, 다른 나라에서는 어떤 일들을 하고 있는지 그걸 알아야 한다고 말이다. 앞으로 해야 할 일들을 알아야 하는 것이 아닌지를 말이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우리 교육도 큰 변화를 겪었다. 내가 오래전부터 제안한 디지로그 교육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의 병행이다. 이게 불가피한 사정 아래서 긴했지만 실행되었던 거다(중략).

제도도 변화가 필요하지만 교육의 내용까지 바뀌어야 한다. 지식 전달에 그치지 말고, AI 사회에 필요한 사고의 능력, 지혜를 가르쳐야 한다는 거다.

P133

> 코로나 팬데믹으로 바뀐 교육현장을 이야기한다. 이어령 선생이 예전부터 제안을 했다고 한다. 환경에 따라 변화고 있는 교육들. 이제 어느 정도 적응이 되어 서로의 자리에서 각자 자리에 맞게 변화하고 적응하고 있는 것 같다. 저자는 예전부터 우리의 교육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한다. 역시 선구자이신 것 같다.

<책을 읽고 나서>

이 책은 전체적으로 독자에게 무언가를 알려주는 것 같다. 아이들이라며 묘사를 했지만 아이들이라고 하면서 여기엔 어른들도 포함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AI가 처음 등장하면서부터 아니 안드로이드로 시작되는 초록 인종이 그 시작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다음이 AI 출생과 그 배경을 설명한다. 또한 그 뒤에 숨겨진 뒷이야기까지 알려준다.

초록 인종의 대중화를 시작으로 AI가 나타났고 그 시점에 알파고와 이세돌 기사의 세기의 대결이 있었다.

그러면서 코로나 팬데믹이 일어났고 코로나를 맞으면서 자연스럽게 등장하게 된 비대면 관련 과학기술을 보편화하면서 인간의 삶에는 더 많은 이야기가 생겨나고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하드웨어적으로나 소프트웨어적으로 많은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게 지금의 현실이다.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일임에는 틀림없다. 그러기에 이어령 선생님은 이 책을 통해서 #너어떻게살래 를 화두로 던진 게 아니었는가 한다.

기하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에 비해 인간의 윤리의식이나 생명존중 의식, 기계를 맞이하는 우리의 자세들 그리고 그들과의 공존에 대하여 말이다.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하는 책임에 틀림이 없고 이 복잡한 문제를 꼬부랑 옛이야기에 맞춰 풀어내는 이어령 선생을 다시 한번 더 존경하게 만든다.

다시금 정독해 보고 싶어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