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먼 다이슨의 의도된 실수 - 과학과 인문학의 논쟁 그리고 미래
프리먼 다이슨 지음, 김학영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고 나니 분명 나도 서평을 쓰고 있는데도 이렇게나 다를 수가 있는 건가, 를 제대로 느꼈다. 저자의 글은 이렇게 한 권의 책으로 엮여 나와도 너무나 당연할 정도의 내용을 담고 있으니까. 세상에 글 잘 쓰는 사람이 널려 있긴 하지만, 서평이라는 분야에서는 또 다르지 않을까. 물론 국내에도 글 잘 쓰는 서평가가 존재하고, 그의 글을 읽었을 때도 지금과 마찬가지의 기분을 느꼈다. 같은 사람이지만 달라도 너무 다르다는 것을. 뭐 이들과 날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는 것도 당연한 이야기니까 열등감을 느끼는 것도 내 자유다.


내용에 앞서 저자의 이력은 화려하다 못해 웅장할 정도다. 책을 읽어보고 나서 는 스티븐 와인버그의 발언에 동감할 수 밖에 없었다. 노벨위원회가 저자를 밀어낸 게 아니면 뭐란 말인가. 더군다나 책의 서문만 읽어봐도 저자의 성숙한 인격을 알 수 있다. 자국의 문화를 우월히 여기는 미국이 한국이라는 나라의 문화를 얼마나 알고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를 말하면서. 저자와 친분이 있는 이들 중에 리처드 파인만과 스티븐 와인버그만 봐도 알 수 있을 것 같다. 저자의 사진만 보면 쭈그렁 외국인 할아버지일 뿐일지 모르겠지만, 그의 인격과 업적, 그리고 이 책의 의도된 실수들을 보면 얼마나 대단한지에 감탄할 수 밖에 없어진다. 한편으로는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 업적을 남긴 저자가 글쓰기까지도 이렇게 탁월하다는 것에도 놀랍다. 한 가지를 잘하면서 이렇게 여러가지까지 잘하니까 요즘 말하는 사기캐릭터 같기도 하다.


총 21편의 서평을 싣고 있는 이 책은 과학이나 인문학이라면 무조건 어렵다고 여기는 독자들에게도 좀 더 익숙하게 다가선다. 그렇다고 완전 초등학생이 읽을 정도로 쉽네라는 건 결코 아니다. 하지만 여태까지 아니 그 책을 직접 읽으면 되지 왜 서평집을 읽어?라는 생각을 해온 독자라면 당신이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게 될 책이다. 난 지금 매트릭스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저자의 의도된 21편의 실수들을 넘어 후속편도 더 나왔으면 하는 책이다. 영어를 할 줄 안다면 원문으로 읽고 싶은데 이는 불가능은 아니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기에 안타깝지만 이 책만큼의 번역으로 접하고 싶다. 과학과 인문학에 흥미를 느끼는 독자라면 무조건 읽어봐야할 책이다. 물론 제목만큼 저자의 생각이 많이 드러나기에 행여나 거부감을 느끼는 독자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아주 극소수에 불과하다고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