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에 담아낸 인문학 - 상식의 지평을 넓혀 주는 맛있는 이야기
남기현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제목만 보면음식과 인문학이 과연 어떤 관련이 있나 의문이 생기기도 할 것이다. 언뜻 음식은 그저 먹고 소화되는 것인데 인문학과는 너무 멀어보이기 때문이다. 요즘 하도 인문학 인문학하니까 이런 책까지 나오게 된 걸까 하고 했으나 책 소개와 목차만 봐도 내가 정말 잘못 알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게 있어 음식이나 식습관, 문화는 사실 내 관심사와 인생에서는 아주 낮게 위치한다. 워낙 먹는 것에 관심이 없어서인지 마른 멸치같은 몸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살이 찐 사람들은 혹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먹는 것이 낙이고 늘상 다이어트를 얘기하지만, 나는 반대로다. 살이 찌고 싶으면서도 먹기는 싫기에 언제나 그들과는 전혀 반대의 고민을 가지고 살아간다.


이 책은 음식과 그에 관련된 문화를 알려주는 책이다. 그저 아무 생각없이 먹는 음식이니까 먹는거지라고 여겼던 내게 각각의 음식도 다들 문화와 관련이 있다는 새로운 생각을 심어주게 된 책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의 다양한 음식에 관련해서도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기 때문에 전혀 지루할 틈이 없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음식에 대해서도 잘 모르는, 아니 하도 무관심해서 아주 많이 모르는 나같은 독자가 봐도 요즘같은 세상에 왜 굳이 흑백으로 인쇄했을까 하는 것이다. 특히 여행이나 음식 사진은 그 여행지에 정말 가보고 싶게, 그 음식을 정말 먹고 싶게 컬러로 찍어내야 더 효과가 클텐데 왜 굳이 흑백으로 찍어낸 것일까가 참 의문이다.


물론 컨텐츠와 양질의 내용 때문에 이 아쉬움들이 많이 묻혀지긴 하지만, 그래도 역시 아쉬운 건 아쉬운 점이다. 생각해보니 우동한 그릇이란 동화를 어릴 적 즐겨읽었다. 음식에 관심이 없는 나라고는 하지만, 살아오면서 어찌 음식에 관한 에피소드가 하나도 없을까 싶었다. 다양한 음식과 그에 관련된 여러가지 문화의 에피소드들이 즐거웠다. 앞으로는 아무 생각없이 뭘 먹고 살아야하나가 아니라 이 음식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어떤 문화권에서 나오게 된 것일까를 생각하면서 음식을 즐겨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