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가 쉬워지는 초등 신문 읽기 - 문해력부터 수능 비문학까지 자기주도학습으로 대비하기 바른 교육 시리즈 39
이혜진 지음 / 서사원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상위권 1%인 아이는 '읽기 교육'에 진심인 부모가 만든다!
문해력부터 수능 비문학까지 자기주도학습으로 대비하기

#교과서가 쉬워지는 초등 신문읽기

요즘 다들 문해력! 문해력!
학부모들 모이면 아마 대부분 학원이야기
아이들 공부이야기 빠지지 않습니다.
그중 문해력에 대해 모두 고민이 많습니다.
읽고, 쓰고, 정보를 추출하고, 분석과 판단하는 능력까지
골고루 갖추면 참 좋겠지만 꾸준히 노력하지 않으면 놓치기 쉬운 문해력

어떤 방법으로 접근하고 키워가야하는지 바이블같은 책
바로 바로 "교과서과 쉬워지는 초등 신문읽기" 읽어보았습니다.

Newspaper in Education

//NIE시작하기 핵심정리//
1. 신문에는 수준 높은 지식과 최신 정보가 집약돼 있다.
2. 사회, 과학, 경제, 문화, 스포츠 등 사회 여러 분야의 소식을 골고루 접할 수 있다.
3. 현장의 생생함이 살아 있는 사진, 인포그래픽 같은 시각 자료가 많다.
4. 전국에서 일어난 사건, 사고부터 지구 반대편 소식까지 매일 새롭게 업데이트된다.
5. 세계를 주름잡는 리더들은 신문을 열심히 읽는다.

신문과 잡지를 활용하면 일상적인 뉴스나 다양한 이슈에 대해 접근하기 좋습니다. 현재 사화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하기도 좋고 다양한 주제에 대해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글을 읽어봐야 다양한 주제로 글도 쓸 수 있고 글을 쓰는 연습을 꾸준히 하면 문해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을거예요. 다양하게 접하는게 주요관건인데 이런 다양성을 충족하는 제일 좋은 방법은 신문읽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은 어린이 신문도 다양한 주제로 아이들이 쉽게 읽을 수 있어요.

아래는 주요 어린이 신문 사이트입니다.
사이트마다 들어가보니 유용한 자료들이 많았어요.

어린이강원일보
http://www.kidkangwon.co.kr/
어린이동아
http://kids.donga.com/
틴매일경제
teen.mk.co.kr
어린이조선일보
http://kid.chosun.com/
소년중앙
https://sojoong.joins.com/
아하!한겨레
http://www.ahahan.co.kr/
소년한국일보
https://www.kidshankook.kr/
주니어헤럴드
https://juniorherald.co.kr/

NIE 참고자료 한국신문협회 신문활용교육코너도 아주 유용해요.
http://www.presskorea.or.kr/mobile/index.php

각 사이트마다 들어가서 자료 활용해 보시고
아이들이 꾸준히 읽고 활동을 할 수 있으면 정기구독까지 생각해봐도 좋을 것 같아요.

저는 고등학교때 매일 오전 신문 사설 잘라서
서론, 본론, 결론 단락나누고 주제를 찾고 단락의 중요문장을 찾아가며 비판하기까지 나의 생각 글쓰기를 매일 했었어요. 물론 선생님이 시켜서 한것이긴 했지만 뒤돌아 생각해보면 그때의 경험들이 지금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아이들도 여러 주제의 글을 접해보고 다양하게 생각하며 자기주장을 펼쳐보는 활동을 많이 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결국 문해력은 스스로 읽고 생각하고 글로 표현해봐야 향상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신문에 실리는 칼럼이나 만평 읽는것을 좋아했고
신문의 광고 페이지를 보며 어떤 광고가 메인 페이지에 실리는지 눈여겨 봤었는데 신문처럼 간편하게 들고 읽기 좋았던게 없었던거 같은데 말이죠. 모두 모두 신문에 관심을 기울일때가 아닌가합니다. 가랑비에 옷이 젖는 줄 모른다는 속담처럼 조금씩 아이들에게도 노출시켜줘야겠다고 다짐해봅니다.

P71
신문은 정치, 경제, 과학, 기술, 국제, 예술, 스포츠 등 사회 전 분야의 지식과 촤신 정보를 주제별로 잘 정리해 준다.

P72
매일 신문을 읽으면 급변하는 사회 흐름을 파악하고, 삶에 꼭 필요한 정보를 획들할 수 있다. 시대 변화를 읽고 발 빠르게 대응하고 싶다면 꾸준히 뉴스를 접해야 한다.

P76
대체 불가능한 안재로 성장하기 위해 우리 아이들은 궁극적으로 남과 다른 '질문'을 던질 수 있어야 한다.

@seosawon

#서사원출판사#이혜진지음
#바른교육시리즈39
#문해력#비문학
#신문#어린이신문
#읽기교육#독해
#교육서추천#도서서평
#신간#융합활동
#미디어리터러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