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방일지란 말이 요즘 유행하는 말이라
책 팔려고 붙였나 했는데
책을 읽고 나니
이보다 더 잘 어울리는 제목이 있을까 싶었다.
읽는 내내
우리들 시대의 아버지의
전형적인 모습이지 않을까 싶다.
고집불통에
집에서 어쩔 줄 모르시고
밖에선 한없는 오지랖으로
참견 안 하시는데 가 없고
가족한테나 잘하지
쓸 때도 없는 남한테 왜 잘하는 건지
얽히고 설힌 친척들에게도
왜 저리 오지랖을 부리는지
이 모든 상황이 어릴 적 내가 겪었던
내용들이라
진짜
빠져들듯이 읽었다.
이 소설의 실질적인 주인공은
빨치산으로 물리는 공산주의자 고상욱이다.
내가 보기엔 이 사람에게 사상은 허상일 뿐
그냥 그 당시의 아버지들의 모습일 것 같다.
6.25전쟁을 겪고
못 살았던 시기
산업화로 진입하는 과정에서의
도시에서 일 다니느라 바쁘고
시골에선 농업으로 먹고 살기 바뻤던 그시절
시골에서 있었던 일들...
딸이 느끼고 생각했던
그런 아버지의 모습이 아니라
아버지의 장례식에 온 사람들의 입에서
나온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대학 이후 떨어져 살았던
세월에서 떨어져 있던 거리,시간만큼
조금은 거리를 두고 아버지의 존재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딸조차도 아버지는 빨치산이며
혁명가라고 못 박고 그런 시선으로 쳐다보았다.
분쟁이를 하룻밤 재워주는 것도
민중이라는 단어를 쓰니 말이다.
작가는 빨치산의 딸이며
친척들의 행동에서 아버지를 비아냥거리지만
그 내면에는 사상 때문이라기보다는 아버지의 성격임을
장례식을 통해 알아간다.
유물론자이나 시원이니 하는 단어들은
아버지의 삶에 장애물인 거 같은데
아버지 본인만 모르는 것 같아
항상 아버지를 답답해하는 것 같다.
장례식장에서
비로소
아버지와
아리만 남는다.
말이 없는 아버지를
주변의 장애물들이 제거하고 보고
역시 아버지는 그냥 아버지였다
어릴 적 아리를 계속 업어주었던 그 아버지였다
혁명가이고 빨치산이고
사회주의자였으며
민중을 위해 앞장서는 그런
사상가가 아니었다.
그 거대한 이념으로
아버지를 제대로 못 본 것에 대한
아리의 반성이라
이 책을 설명하고 싶다.
아버지 또한 이념에 갇혀서
자신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살았지 않나 싶다.
여러 유명한 사람들이 작품평에 쓴 것처럼
정말 재밌고 슬프게 읽었다.
사투리에 익숙지 않아서
한자 한자 외국어 보듯이
확인하며 읽느라
시간이 좀 걸렸다.
베스트셀러가 될 것 같다.
표지 색깔이 내용상 빨간색이었을 것 같은데
녹색인 걸 보니 작가도 이념이 중요하지 않은 걸 아는 모양이다.
목차도 너무 간단하다.
아리의 성격을 보여주는 것 같다.
겉치레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오죽이, 오죽하면 이런 단어들이
아버지의 성격 및 마음을 잘 나타내는 단어 같다.
오랜만에 재밌고 슬픈
여운이 많이 남는 책을 읽어본 거 같다.
저녁에 시골에 계신
나의 아버지에게 전화라도 한통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