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소프트웨어 성공 방정식 - 가슴 뛰는 소프트웨어는 어떻게 만들 것인가?
김재호 지음 / 제이펍 / 2014년 2월
평점 :
절판


대부분의 책들은 개념 파트가 가장 따분하다.

하물며 소프트웨어의 개념과 원론은 어떠할까.

하지만 이 책은 읽다보면 소프트웨어에 관한 기본 개념이 자연스레 인식된다.

곁가지를 다듬는데 저 아래쪽 뿌리가 건강해지는 현상인 것이다.


이 책은 소프트웨어 종사자들을 취재하고 인터뷰를 한 기록을 서술한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방향성이라든가 실정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데 보통 전문가들의 대화에 비전문가들은 듣고만 있어도 맥락을 따라잡기 힘들기 마련이다.

다시 말해서 뉴스를 보면 정치에 관한 논의를 전문가들끼리 나누는데 바뀌는 법안이 이전의 법안과 어떤 점이 다른지, 그리고 반대파에서는 태클을 왜 거는지 기본적인 지식이 없으면 도통 소 귀에 경읽기 수준에 그치고 만다.


하지만 이 책은 소프트웨어에 관한 전문가들이 나누는 대화를 읽기만 하더라도 사전 지식과 함께 응용 단계의 지식까지 동시에 채워진다.

아마 소프트웨어가 우리 삶과 밀접하기도하며 저자가 우리 삶 속의 이야기들과 잘 버무려 담아낸 덕이 아닐까.

그렇기 때문에 이해가 쉽고, 또 알 필요가 있는 지식들이다.


사회 현상과 이공계 지식은 이렇듯 사람들의 삶과 어우러진 채로 전달되어야 한다.

운전으 잘 하는 사람의 차에 동승하면 흔들림을 느낄 수 없다.

차가 달리는 감각도 잊은 채 어느새 멀리 나아가 있곤 한다.

이 책의 저자는 서술자로서 베스트 드라이버인 셈이다.

지식인의 품격을 아주 훌륭하게 보여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