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치유 - 다름이 행복이 되는
송준용.유미녀 지음 / 지식과감성#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때, 뇌과학 책이나 심리학, 행복을 논하는 책들을 읽었었다. 인간을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싶었고, 이를 바탕으로 행복한 삶으로 다가가고 싶어서였다. 

인간은 무궁무진한 정신세계를 가졌기에 생각의 폭이 넓고 뭐든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사실 그렇지가 않다.

노력하지 않으면 편협한 생각에 갇혀있기 십상이다. 뇌구조가 그렇게 생겨먹었다. 인간의 뇌는, 비록 그것이 잘못된 생각이나 습관일지라도 쉽게 바꾸려고 하지 않는다. 익숙한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습관을 고치기가 어려운 것이다. 

생각의 방식이나 성격도 습관이다. 그래서 매일 보는 가족끼리도 언쟁을 하다보면 내가 살아오면서 그려왔던 생각지도대로 생각하고 말을 하니 서로 생각차이의 폭을 줄이기가 힘든 것이다. 

송준용, 유미녀 상담학 박사 부부가 써내려간 <다름이 행복이 되는 '행복치유'>는 그런면에서 상당히 공감이 간다.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주고 이해해주기로 시작한다. 사실 그게 가장 어려운 일인것 같다. 가족의 중심은 부부가 되어야하고 부부가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노력한다면 부모를 보고 자라는 아이들의 성장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것이다. 

이 책은 부부편, 자녀편, 부모 자녀편 이렇게 3장으로 나누어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실 어느 부부든 배우자의 말이나 행동이 도저히 이해가 안간다는 얘기를 자주 하지 않는가? 그건 철저히 서로의 입장에서만 생각했기 때문이다. 

결국 내가 바라는 것은 상대를 비난하여 나쁜 관계로 가는 것이 아니라 좋은 관계로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이 아닌가.

지금보다 행복한 부부로서의 삶을 살 수 있다면 기꺼이 자존심을 내려놓고 인생의 수정 작업을 한번 시도해 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부부관계에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들을 여러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자녀도 마찬가지이다. 

내 속에서 나왔지만 한 명의 독립적인 인격체이다.

발달 단계에 따라 그들의 생각주머니는 달라진다. 

부모가 각 시기에 따라 어떤 마음과 태도로 대하느냐에 따라 그들의 인생은 크게 달라진다고 한다.

단순히 부모 자식간의 관계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인간이 어떻게 자라는 것이 바람직한지 자녀를 위해 부모는 어떤 교육관을 갖고 어떤 역할을 해주어야 하는지를 설득력있게 얘기해 주고 있다.

마지막, 행복치유편에서는 가족간에 벽을 허물고 행복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도 제시해준다.



우리는 지금보다 나은 삶을 꿈꾸며 살아간다. 지금껏 삶을 뒤돌아보건대 우리는 가정이 행복할 때 모든 것이 행복하다는 느낌을 더 잘 기억할 것이다. 아무리 개인적으로 성공한 삶을 살았을지라도 가정이 무너지거나 자녀 문제로 편안할 날이 없다면 그건만큼 불행하다고 느끼며 힘든 시간을 보내는 것도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더 고민할 것도 시간을 지체할 것도 없지 않은가. 자존심은 내려놓고 자존감을 높여 가족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한다면 행복은 저절로 따라올 테니까.

#행복치유#부부자녀#다름을인정#송준용유미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