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은 왜 포도청이 되었을까? - 전통 직업 신기방기 전통문화
정윤경 지음, 최선혜 그림 / 분홍고래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한 후기입니다.


목구멍은 왜 포도청이 되었을까?

글 정윤경

그림 최선혜

분홍고래


이번에 읽어보게 된 도서는 목구멍은 왜 포도청이 되었을까? 인데요.

제목을 보니 궁금증이 절로 생기는데요.

목구멍은 왜 포도청이 되었을까에서는 옛날에는 어떤 직업들이 있었는지 만나볼 수 있는데요.

그당시에는 있던 직업이지만 지금은 없는 직접들 살펴보며 전통 문화 배워볼 수 있어요.



전통문화에 대해서 배우면서 속담들도 같이 만나볼 수 있는데요.

어떻게 속담이 전해지게 되고 유래 된 이야기 인지 만나볼 수 있어요.


지금은 많이 좋아졌지만 옛날에는 신분 사회로 나뉘면서 다양한 직업들이 있었는데요.

신분에 따라서 하는 일도 달랐고 살기 위해서 가져야 하는 직업 또한 달랐는데요.

물장수에서부터 유모, 짚신장수, 똥장수 아저씨, 월천꾼, 매골승, 전기수, 변사 보부상, 역관 등등 신기한 직업들이 많았어요.


예날에는 신분 사회로 양반이 아니고서는 생활하기가 쉽지 않았는데요.

그래서 생겨난 직업이 많았고, 신분이 낮으면 불이익을 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어요.

그래서 그와 관련된 속담도 만나볼 수 있는데요.

월천꾼은 다리부터 걷는다는 어떤 일을 할 때 미리 서둘러 대는 모습을 이르는 말이라고해요.

가난한 사람은 허리띠가 양식이다는 가난한 사람은 배가 고픈것을 참으려고 허리띠를 졸라맨다는 뜻으로 굶주림에 처한 딱한 신세를 말한다고해요.

옛 직업과 함께 그와 관련된 속담을 통해서 그때의 시대를 짐작해 볼 수 있고 의미도 알아볼 수 있었어요.




또, 재미있는 우리말에서는 우리들이 잘 사용하는 말들이 어떻게 유래된 말인지 설명되어 있는데요.

평소에도 얼른 보여줘라는 말은 재촉할떄 많이 사용하는 데요.

얼른은 사당패 공연에서 나온 말이라고해요.

얼른쇠가 빠른 손놀림이나 도구 등을 이용해서 선보이던 공연을 얼른이라고 했다고해요.

지금의 재촉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무심코 사용했던 우리말의 의미를 알고 나니 더 흥미롭더라고요.


목구멍은 왜 포도청이 되었을까?를 통해서 엣날 직업에 대해서도 알게 되고, 역사도 배울 수 있고 속담도 배울 수 있어 좋았는데요.

직업에 대해서 아이와 이야기 해보고 지금의 직업과는 어떤점이 달라졌는지 이야기 나눠 봐야 겠어요.

목구멍은 왜 포도청이 되었을까?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