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리타의 조선 도공 백파선 ㅣ 봄봄 문고 9
한정기 지음, 김태현 그림 / 봄봄출판사 / 2024년 11월
평점 :
봄봄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 제공받아 솔직하게 읽고 쓴 리뷰입니다.
아리타의 조선 도공 백파선
글 한정기
그림 김태현
봄봄출판사

이번에 읽어보게 된 도서는 알리타의 조선 도공 백파선인데요.
백파선은 백발의 여자 선인을 뜻하는 뜻으로 도자기를 만드는 여성 사기장을 뜻하는데요.
주인공인 늙은 덕선을 사람들이 부르며 전해졌다고해요.
표지를 보고 도자기를 만드는 여인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 같아 바로 읽어봤어요.

감물마을 잔치가 있는날은 바로 덕선의 혼례가 있는 날인데요.
감물마을은 조선시대에 도자기를 만들던 마을이었는데요.
가정을 이루고 아이도 낳고 행복할 것 같던 꿈은 임진왜란으로 인해서 산산 조각 나게 되었는데요.
임진왜란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의 도자기를 맘에 들어했고, 그 후 일본은 조선의 많은 사기장들을 일본으로 끌고 갔어요.
덕선이네도 마을 사람들과 함께 일본으로 향하는 배에 오를 수 밖에 없었는데요.

조선에서는 도자기 만드는 도공은 큰 인정을 받지 못했던 반면 일본에서는 괜찮은 대우를 받았는데요.
하지만 조선의에서의 흙과 일본에서의 흙이 다르기 때문에 도자기 만들기가 쉽지 않았어요.
마을 사람들이 여러 방법 써보면서 도자기를 만들었지만 깨지거나 부서지는 것이 많아 온전한 도자기 만들기는 쉽지 않았는데요.

일본의 흙은 돌가루와 가까워서 도기와는 다르게 높은 온도에서 구워야 했는데요.
그렇게 탄생한 자기는 단단하고 잘 깨지지 않으면서 청자, 백자와 같이 아름답기 까지 했어요.
드디어 영주의 맘에 드는 제품을 만들게 되고 영주는 많은 사람들을 쓰면서 사기장의 대우를 해주게 되었는데요.
사기장의 인정을 받으면서 오랜 세월 일본에서 있으면서 가족이 죽고 그럴수록 고향을 그리워 하는 백파선의 모습이 아련하기만 한데요.
강제로 끌려와서 도자기를 만들면서 식구들을 책임져야 했던 책임감에 더 도자기를 만들지 않았나 싶어요.

아리타 지역은 1680년도가 되서야 지도에 나타났는데요.
그곳 아리타에서 만든 백자와 각종 도자기는 외국으로 수출되고 일본의 근대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해요.
역사속의 여자 도공 백파선을 통해서 임진왜란속에 숨겨진 이야기 만나볼 수 있었는데요.
역사를 공부하면서 같이 읽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아리타의 조선 도공 백파선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