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라, 한국사 1 - 고조선 열쇠key를 찾아라! 똑똑 열려라, 한국사 1
고성윤 지음, 조승연 그림, 김태훈 감수 / 상상의집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상의 집 열려라 한국사

한국사도 상상의 집 도서로 만나볼수 있어요.
표지에 보이는 캐릭터들만으로도 너무 재미있을거 같죠~~
루이와 샘은 어려서인지 신석기 구석기 시대 박물과나에 가서  
그 시대를 재현해놓은 사람모형을 보면 무서워하더라구요.
어려서일지도 모르지만 잘 모르기 때문인거 같기도 해요.

 

아이들에게 재미있게 알려주기 위해
상상의 집 - 열려라 한국사 1. 고조선 열쇠 Key를 찾아라!
를 먼저 읽어보아요~~

이야기의 시작은 병원에서 산이가  할아버지와 함께 황금열쇠를 가지고
여행이 시작되어요
엄마아빠 있는 곳으로 돌아가고 싶지만 갈수 없는 산이!
돌아가고 싶다면 황금열쇠를 찾는 방법밖에 없어요.
산이와 할아버지의 모험을 시작으로 고조선 여행부터 시작~~

황금열쇠를 찾는 게임과 같은 스토리로 시작했는데
목차도 게임과 같아요~~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 생활까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상상의 집 - 열려라 한국사
1. 고조선 열쇠 Key를 찾아라
 
재미있을거 같아요.
황금열쇠를 어떻게 찾을지 궁금해지네요.

 

상상의 집 - 열려라 한국사 1. 고조선 열쇠 Key를 찾아라
한국사의 처음시작은 선사시대
선사시대를 들어가서 미션은 최초 인류를 찾고
아래 아이템들을 획득하라고 나와요.
이걸 잘보니 게임과 같이 진행하는거 같지만
선사시대에 알아야 할 뗀석기 빗살무늬토기등을 획득해야하고
최초인류까지 알게 하는거네요.
아이 흥미를 높이면서 집중도 할수 있도록 구성되었네요.

 

 

이야기가 진행되어 미션과 아이템 획득하기 전에
꼭 알아야할것들을 정리해두었어요.
역사를 문자로 기록전이 선사시대 기록후는 역사시대라고 정리도 해 두었어요.
시대의 나뉨과 도구들까지 잘 정리해두었어요.

 

그림과 글을 적절히 놓아서
이해를 돕고 있어요.
인류가 점점 직립되어가는게 눈으로 보이죠~~
친근한 그림과 내용으로 미션에 해결하기 위해 점점 집중하게 되요.

그림만 있는게 아닌
이렇게 사진을 같이 놓아서 이해도 빠르고
선사시대 유물이 현재의 어떤 물건과 비유가 되는지도 보여줘요.
구석기 시대의 주먹도끼가 지금의 맥가이버 칼과 같은 역할을 했다니
신기하네요.

 

상상의 집 - 열려라 한국사 1. 고조선 열쇠 Key를 찾아라!
을 읽다보니 문제도 풀어야하네요.
문제 푸는게 어렵다면
그 옆페이지를 보면 키 포인트가 있어요.
ㅎㅎㅎ 너무 쉽게 힌트를 주네요~~

 

 

하나하나 이야기를 따라 진행이 되다가
선사시대에는 어떻게 살았는지 전체 그림이 나오니
머릿속에 그려졌던 그림이 형상화 되고 정리되네요.
선사시대에는 사람들이 어디에서 거주를 하고 집 모양은 어떠했는지
무엇을 먹고살았는지
이 한장의 그림안에 보이시죠~~
동물들도 기르는 모습도 보이고 집단생활을 시작했다는걸 알수 있게 해줘요.
이야기 진행과 함께 이렇게 그림으로 전체그림을 볼수 있게 해주는 이런 그림 좋네요.

이런 구성으로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 생활까지 쭉  진행이 되니
아이들 흥미를 가지고 집중해서 이야기를 듣고 미션을 해결하겟어요.
이야기를 다 읽고 뒤를 보니
다시한번 시대별로 정리가 되어있어요.
오호~~이렇게 표로 정리가 되어있어 지금까지 읽었던 내용 정리가 되요.
이야기를 읽고 무엇을 내가 알고 모르는지 확인할수 있는 부분이네요.

 

 상상의 집 - 열려라 한국사 1. 고조선 열쇠 Key를 찾아라!
의 뒤에 찾아보기가 있어 사전과 같은 역할을 하네요.
일상에서 쓰이는 용어들이 아니라
한번읽고 잘 모를수 있으니
뒤에 이런 찾아보기를 놓아 다시 찾아보게 하는것도 너무 좋은 구성이네요.

상상의 집 - 열려라 한국사 1. 고조선 열쇠 Key를 찾아라!
에 안에 들어있는 토기며 주먹도끼등은 어디에 잇는걸까?
하고 궁금했는데
맨뒤에 어디에 있는 물건인지 알수 있어요.
이걸 보고 그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견학을 하는것도 좋은 방법인거 같아요.
아이들이 한국사를 재미있게 접할수 있어 너무 좋네요.
굿~~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