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선을 위한 독서 - 책은 어떻게 교회와 이웃의 번영을 돕는가
C. 크리스토퍼 스미스 지음, 홍정환 옮김 / 죠이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교회의 특징(혹은 사명)을 두 가지로 말하라고 한다면 첫째는 ‘철저한 개인 구원’이고, 둘째는 ‘외적인 교회 성장’이다. 전자는 구원을 지극히 개인의 문제로 전락 시켰고, 후자는 지역 사회와 단절된 게토화된 ‘그들만의 교회’를 만들었다. 이것을 사회적인 맥락으로 표현을 바꾸면 ‘개인 구원’은 ‘자기 개발’이이 되고, ‘교회 성장’은 ‘세속적인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죽어서 천국 가는 것이 구원의 유일한 목표이고, 이 세상은 죄로 인해 완전히 망가졌으며(회생 불가능), 창조 신앙을 강조하긴 하지만 이 세상은 예수의 재림과 동시에 불타서 없어질 것이라고 가르치는 세대주의적 종말론에 함몰되어 있다면, 이 책이 계속해서 강조하는 깨어진 세상 속으로 들어가는 ‘화해’나 ‘소명’, ‘제자도’와 ‘번영’을 제대로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어떤 분에게는 너무 심한 이야기처럼 들릴지 모르겠다. 하지만 단언컨대 이런 문제점에 동의하지 않고서는 이 책을 제대로 읽을 수 없을 것이다. 아니 이런 관점이 없다면 이 책에 흥미를 별로 느끼지 못할 것이다. 혹시나 책의 부제에 들어간 유혹적인 단어 - ‘번영’ 때문에 이 책을 펼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이 제시하는 번영은 우리가 기대하는 그런 개념이 아니다. 


더 솔직하게 말한다면, 과연 한국 교회 목회자들이나 교인들이 “이런 책에 얼마나 동의할 수 있을까? 이 책이 가지고 있는 매력을 얼마나 발견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든다. 성경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서들을 읽음으로서 개인을 뛰어넘어 교회 공동체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대안적인 공동체로 지역사회 속에서 화해와 번영을 이루어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코로나 이후 붕괴되고 있는 한국 교회의 현실 속에서, 우리가 그동안 놓치고 있는 것들이 무엇이며, 교회 공동체는 ’왜’ 그리고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지를 진지하게 묻는 사람에게, 신선하면서도 묵직한 도전과 제안을 던지는 책이다. 단순히 어떤 프로그램으로 이해하지 말고, 저자가 오랜 몸부림을 통해서 주님을 따르려고 했던 것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았으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책의 구성을 간단히 소개하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장과 2장, 마지막 9장은 독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고, 3장과 4장은 독서와 교회 공동체에 대해서, 나머지 5장, 6장, 7장, 8장은 독서하는 교회 공동체가 어떻게 지역사회 안으로 들어가서 배움과 실천을 이루어갈 수 있는를 소개하고 있다. 두껍지 않은 책이지만 곳곳에서 ‘아하’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