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시간들 - 이보영의 마이 힐링 북
이보영 지음 / 예담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읽기와 성장.. 

글쓰기와 힐링 





이보영의 마이 힐링 북 - "사랑의 시간들"을 읽고... 





Impression . .. 


민트 색 표지 위, 서가에 집중된 배우의 눈이 참 예쁘게 담긴 이 책은 최근 득녀했다는 소식을 접하며 웹페이지에 함께 떠 있던 뉴스를 통해 알게 된 배우 이보영의 독서 노트다. 아무래도 여배우의 책이라 하니, 문장을 읽기 전에 벌써 질주하는 이미지들이 있게 마련. 


가만히 그윽하게 퍼지는 이지적인 분위기가 참 좋은 배우라 책을 읽기도 전에 "아 예쁘다, 곱다" 하며 책을 쓰담거리게 되는건, 어디 나 뿐일까? 


책이 도착하고 바로 순식간에 읽어 내려가지 못한건, 출산 준비로 바빴던 몇일도 몇일이었지만 사실 책을 아껴보고 싶어하는 내 모습 때문이 컸다. 그녀의 독서 기록 중에 종종 페이지를 아껴 가며 읽은 책 얘기들이 나오는데, 어떤 이유에서건 아껴가며 읽을 활자.. 페이지가 있다는 건 큰 행복이 아닐까 싶다. 책을 읽는 내내 참 여유로왔고.. 그 여유 안에 표지의 민트 색이 겹쳐 기분이 무척 사랑스럽고 좋았으니 더 그랬는가 보다. 이 책, 아끼며 잘 읽었다. 



Words. .. 

이보영의 문장들은 담백했고.. 그래서일까, 글을 쓴다는 행위 자체는 참 사람을 차분하고 솔직하게 하는 구석이 있구나 새삼 깨달아 본 계기가 되었다. 공감가는 구절들도 많았다. 이런 책은, 모름지기 짧막짧막 끊어가며 청량한 오후 분위기 가운데 읽어야 제 맛이지 싶어 오전 중 집안 일을 휙 돌려두고 차갑게 만든 레몬에이드나 홍차를 옆에 두고 나 또한 읽은 책에선 "맞아, 그래" 하면서.. 읽어보지 못한 책에선 "나도 읽어볼까..?" 하며 찬찬히 읽어 나갔다. 해서 공감의 구석들은 좀더 곱씹어졌다. 



행복에 대한 고민, 그리고 참 간편해 보이는 해결책을 새삼스레 깨닫게 해줬다는 그녀의 "꾸뻬 씨의 행복 여행"은, 우리가 겸허히 마주해야 하는 행복의 가장 기본적 원칙은 사실 감사라는 걸 알려준다. 신앙인인 난, 일상 가운데 계시되는 이 사실에 가슴치며 다시 한번 감사로 현재를 살기를 다짐하고 또 다짐하곤 하는데, 책을 통해 이야기 가운데 이 가르침을 받는 것도 꽤 따스하겠다 싶은 생각이 드는, 깨끗한 느낌의 서평이었다. 


정말이지 우리 모두에겐.. 감사가 필요하다. 

지금 행복하기 위해서 말이다.



김형경 작가의 작품을 통해 나직히 고백한 위로에 대한 깨달음은, 사실 이 책에서 상당히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어 보인다. 배우 이보영이기 전, 인간 이보영으로서 알았어야 했던, 가장 중요한 깨달음 같아 보이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에게도 그렇게 제언되는 "상처"에 대한 건강한 시선.. 책의 제목이 힐링이고.. 그녀 자신이 독자들로 하여금 위로 받길 원해서일까? 우리 모두 위로가 필요한 존재라는 그 인식이.. 때때로 찾아오는 고독과 침체에 적당한 힘이 되줄것만 같다. 그녀의 목소리가 겹쳐져 더욱 그렇다. 



     위로는 특별한 뭔가가 아니었다. 

     '나만 이런가? 내가 이상한 건가?' 하고 자꾸만 돌아보는 내 모습은 남들과 다르지 않았다. 

     이 책은 상처로 움츠러든 나에게 다가와서 당혹스러워하지 말라고, 

     다른 사람도 다 그렇게 살아가고 있다고 용기를 주었다. 

     나만 불안해 하고 겁내는 게 아니라고 다독였다. 

     '괜찮아, 다 잘될거야'라고 긍정적으로 북돋워주는 격려도 좋지만, 

     내 고통이 나 혼자만의 것은 아니라는 공감에 더욱 힘이 났다. 



읽으며 몇몇 작품 가운데 퍼진 그녀의 생각들 중, 겹쳐지고 확장되는 내 생각들이 짙어지는.. 그런 장들 또한 있어 좋았다. 서평 읽기의 즐거움이랄까? 


"토토의 창가"가 그랬고.. 사랑도 수행이구나, 하는 생각을 던져줬다는 법정의 "스님의 주례사"가 그랬다. 

깊이가 다른 예술인은 역시 누구나에게 명확한 흔적을 남기는구나.. 싶었던 "반 고흐, 영혼의 편지" 역시 내가 좋아하는 작품 중 하나라 더 기억에도 남고 예술에 대해, 또 한번 생각도 하게 했다. 



Healing .. . 

그녀의 독서 가운데 펼쳐진 그녀의 언어를, 생각들을 읽다 보니.. 고등학교 시절 써나갔던 독서일기가 생각났다. 독후 활동으로 국어 선생님에 의해 관리되던 독서일기는, 사실 당시에도 그랬지만 지금까지 내게 책 읽기와 글쓰기의 즐거움.. 그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증거가 됐다. 내 글을 선생님께 확인 받아야 한다는 생각에 부담감이 느껴질 때도 종종 있었으나 대부분의 경우엔 그 독후 활동 자체가 너무나 재미있었고.. 언젠가는 내가 꼭 해야하는, 내 일상 가운데 꼭 "필요"한 활동이 되어버렸다는 인식 또한 생겼더랬다. 


그녀의 경험이... 생각이, 책의 내용과 이리저리 엮여 그녀만의 언어로 정리된 이 책에서 난, 내 기록 역시 소중히 정리하고 싶단 생각에 빠졌다. 그 자체가 "힐링"이 되니 말이다. 이보영의 사랑의 시간들은, 내게 있어서도 사랑의 시간들이 책 가운데.. 일상 가운데 있음을 확인하게 했다. 



그녀의 이미지가 그냥 겉으로부터의 것은 아님을 알게 되어 더 신비로웠던 독서였다. 

정말이지 글을 통해 어느 누군가를 "알아가는" 과정은 얼마나 매력적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