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최강의 수업 - KAIST 김진형 교수에게 듣는
김진형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적 공상과학소설 등에서 인간과 대화하고 감정을 공유하는 로봇을 보며, 상상의 나래를 펼치곤 했었다. 그리고 그것은 점차 영화로 실감나게 표현되었고, 이제 현실에서 경험할 날이 멀지 않았다는 것을 느낀다. 우리가 인공지능이라는 것을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인식하게 된 계기는 이세돌 9단과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알파고와의 세기의 대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그래도 아직은 바둑에서 만큼은 인공지능이 인간을 이기지 못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가 있었는데, 다섯 차례의 대국이 펼쳐지는 동안 완벽히 인간을 이겨버리는 알파고를 보면서 두려움을 느낀 게 나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공상과학소설에서 인간과 대립하며 지배하려는 로봇이 현실로 바짝 다가온 느낌이었다.

 

꼭 로봇의 모습이 아니더라도 현실에서 AI는 많은 영역에서 인간을 대체해 가고 있다. 식당과 패스트푸드 업체에서 무인 주문을 하는 것은 이제 모두에게 익숙한 일이 되었고, 내가 검색해 본 상품과 유사한 제품들이 광고로 소개되는 것을 더 이상 놀라워 하지 않게 되었다.

 

이 책은 카이스트 교수가 보통 사람들을 대상으로 AI에 대해 최소한의 지식을 전달할 목적으로 썼다. AI의 작동 원리, 핵심 기술, 관련 이슈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인공지능이 변화시키는 우리의 삶, 사람보다 똑똑한 인공지능을 위한 기술, 인공지능과 미래 등 크게 3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장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과 윤리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 두 번째 장에서는 인공지능의 기술적인 부분을 다루며, 마지막 장에서는 인공지능의 미래에 대해 전망한다.

 

인공지능의 여러 기술중에서도 단연 기계학습이 핵심이 아닌가 싶다.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를 통해 통계적으로 기계가 학습을 하고, 인간처럼 반응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기계학습, 딥러닝을 통해 가능해 지기 때문이다. 연구자들도 인공지능이 어떻게 학습하고 그 결과가 어떨지 정확히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을 지배한다는 상상을 할 수 있는 듯 하다.

 

인공지능 연구의 큰 두 방향은 인간처럼 개발하는 것과 최적의 합리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인간처럼 만든다면 인간의 오류와 실수를 저지르게 될 텐데, 최적의 합리성을 추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방향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