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 <난설헌>은 엄정한 시대와 현실의 벽 앞에 놓였음에도 자신의 능력을 숨기지만은 않았던 아름다운 여성의 이야기다. 또한 조선의 유교적 여성상에 갇힌채 원망과 분노를 표현하기 보다는 그것들을 소중한 문장과 시로 남겨 강한 인상을 전해주고 있는 매력적인 여성의 이야기이다.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여자의 소리가 담을 넘으면 안된다" 

 

요즘 같은 시대에는 절대 통하지 않을 속담들이 당연하게 여겨졌던 조선 중기. 당시는 남존여비사상이나 가부장제도에 모두가 수긍하고 고개를 끄덕일 수 밖에 없었던 시기였다. 이처럼 조선시대의 아녀자라면 죽어지내는 것이 도리였음에도, "나에게는 세 가지 한이 있다. 여자로 태어난 것, 조선에서 태어난 것, 그리고 남편의 아내가 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가 있었던, 강인하지만 아름다웠던 여성. 그동안 나에게는 조선여류시인 정도, '홍길동전'을 지은 '허균'의 누이 정도로 알려진 '허난설헌'이 바로 이 책의 주인공이다.

 

난설헌은 자의식만큼은 그 어떤 사내대장부보다 강인했고, 지적능력은 그들보다 우월했었기에 비운의 삶을 살아야했다. 결혼 이전의 난설헌은 개방적이고 가족적인 가풍 덕분에 살림살이보다는 서책을 가까이했던 여성이었다. 유교적 여성상에서 벗어나 오라버니, 동생과 문장을 논하였고, 여덟살의 나이에는 '백옥루 상량문'을 지어 세상의 문장가들을 매료시켰다. 자신이 품고 있는 감성들을 문장으로 풀어쓸 수 있는 행복을 깨우쳤다는 불운 때문에 그녀는 결혼 후 눈물의 삶을 살아야 했다.

 

결혼 후, 남편 성립은 자신보다 뛰어난 지적능력과 다가가기 힘든 그녀의 정갈함 때문이었는지, 부인에게 따스한 눈길과 마음을 주지 않았다. 거기서 그치지 않고 어미를 앞세운 두 자녀와 끊임없이 불어닥친 친정의 불운, 남편의 외도와 수 번의 과거 낙방까지. 시어머니의 서릿발처럼 모진 시집살이는 그녀의 불행함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요소였다.

 

너 때문에 남편이 과거에서 낙방하는 것이고, 너 때문에 아이들이 병약하여 일찍 세상을 떠났고, 여자인 주제에 붓을 들려하는 너 때문에 이 모든 불행이 닥치는 것이라했던 시어머니의 말도 되지 않는 시집살이에도 난설헌은 쉽게 분노하거나 흥분하지 않았다. 오히려 외로움과 고통을 견뎌내고 자신을 지킬 수 있는 강인함과 예술혼으로 승화시켰고, 그녀의 이상을 잃지 않았다. 만약 그녀에게 다정한 남편, 든든한 시댁, 건강한 아이들이 있었다면 그녀는 아름다운 시어들을 남길 수 있었을까. 그 모든 것들이 갖추어져서 누구의 아내로, 누구의 엄마로, 어떤 가정의 지어미로 살았다면 뜨거운 생의 의지를 밝혔던 섬세한 문체들을 써내려갈 수 있었을까. 영민했고 다정했던 그녀는 인간으로서, 여성으로서 존중받지 못했지만 그 모든 것들을 인내했던 덕분에 아름다운 시구들을 품을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페이지를 빠르게 넘길 수 있는 스토리가 있는 소설은 아니었지만, 한 문장 한 문장 되새기며 넘길 수 있는 감상이 있는 소설이었다.(역사소설이나 평전은 아니다) 김훈 작가의 여성ver 같은 느낌. 아래는 난설헌의 삶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문구였다. 마음 속에 넘쳐흐르는 감상을 참고 견디어야 했던 그녀의 삶. 그렇게 누르고 누르다 꺼낸 시구들이 그렇게나 빛을 발했던 것일까.

 

잠은 달아나고, 뽀송뽀송 눈꺼풀이 말려 올라간다. 팔베개를 하고 누웠던 그미는 가만히 몸을 일으킨다. 마음에 떠오른 자잘한 무늬들을 종이에 적어보고 싶다는 간절함이 손끝을 떨리게 한다. 무수한 시어들이 머릿속에서 끓어올랐다. 하지만 여기가 어디라고, 서방님 잠든 머리맡에 촛불을 켜고 앉아 시를 적는단 말인가. 안 될 말이다. - p115

 

<2012-3> 난설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