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인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우리가 접하는 뉴스나 신문 속의 사건들은 객관적이면서도 단면적이고, 선과 악의 구분을 명확하게 해준다. 다시 말하자면 약 1분간 앵커의 목소리를 통해 우리에게 전달되는 사건 사고는 듣는 즉시 가해자와 피해자를 가늠할 수 있게 해주어서 나쁜 놈과 불쌍한 사람을 별다른 사고과정 없이 구별해낸다는 것이다. 이 소설 역시도 우리가 뉴스로만 소설 속 사건을 접했다면 선과 악을 별다른 갈등 없이 구분해 낼 수 있는 간단 명료, 흥미로운 살인사건이다. 하지만 언젠가 들었던 한 문장이 갑자기 떠오르는건 왜일까. "진실은 저 너머에..."

 

 

소설은 한 여성의 살인사건에서 시작된다. 소설의 스토리를 언뜻 보면 그녀를 살해한 범인이 누구인지를 찾아가는 범죄소설처럼 보이지만 작가가 원하는 것은 범인이 아닌, 악인이 과연 누구인가를 찾아내는 것이다. 그리고 저자의 의도에 따라 이야기를 따라가다보면 나도 모르게 '과연 누가 악인인가'를 찾아내고 있음을 깨달을 수 있다. 분명 그녀는 살해당한 피해자였지만 그녀를 죽인 남자와 그녀가 좋아했던 남자, 그리고 후반부에 등장하는 여성이 번갈아 등장하면서 악인은 그녀를 죽인 범인만이 아니라고 끊임없이 외치고 있다. 그리고 등장인물 모두를 악인으로, 그리고 피해자로 여기고 있는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소설 속, 이 사건을 뉴스나 신문만으로 접하는 이들은 만남 사이트를 자주 이용했던 품행이 올바르지 않은 여성과 그녀를 죽인 나쁜 범인이라는 선과 악, 이중적인 잣대만으로 사건을 바라보고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사건 속 인물들의 입장에서 보면 그들 모두가 피해자였고, 그들 모두가 범인이었다. 원래 범죄 소설을 다 읽고 나면 범인을 찾아냈다는 뿌듯함에 기분이 상쾌해지지만 이 책을 읽고 난 후 마음이 더 무거워진 것은 작가의 의도가 그러했기 때문일 것이다.

 

 

아마 소설 속 살인사건이 신문기사에 실린다면 이렇게 나오지 않을까.

 

xx년 x월 x일 한 여성이 xxx 도로에서 살인을 당했습니다. 사건 수사 초반에는 몇 일간 행방불명 되었던 남자친구의 소행으로 알려졌지만 만남 사이트를 통해 만났던 남성에 의한 범행으로 밝혀졌습니다. 범인은 도주를 위해 한 여성을 인질로 붙잡고 도망쳤지만 결국 구속되었습니다.

 

그들 사이에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는 관심조사 없이 우리는 무미건조하게 읽고 지나쳤을 일을 작가는 악인이 누구인지를 끊임없이 묻고 답하면서 굉장히 흥미로운 소설을 완성하였다. 지금까지 접해보지 못했던 느낌의 범죄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