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의 진화 - 자기정당화의 심리학
엘리엇 애런슨.캐럴 태브리스 지음, 박웅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자기기인(自欺欺人). 작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된 이 단어의 뜻은 '자신도 속이고 남도 속인다'라는 뜻이다. 교수신문에서 사회 저명인사들을 상대로 한 해의 사자성어를 선택해달라고 하였는데 모든 이들을 속인다는 뜻의 사자성어가 선정된 것이다. 그리고 작년 굉장히 인기를 끌었던 가요 중에 빅뱅의 '거짓말'이라는 곡이 있었다. 여기저기서 터지는 사건 사고들에는 이 노래의 '다 거짓말~'이라는 가사가 더도, 덜도 말고 딱 들어맞는 배경 음악이었다. 말로는 'I'm so sorry'를 외쳐대지만 그들의 진심이 담기지 않은 사과를 우리는 그저 넋 놓고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이처럼 작년도는 각종 거짓말들로 정신 없었던 한 해 였다. 신정아 사건, 각종 사회인사들의 학력 위조 사건, 그리고 해마다 터지는 연예인들의 병역 비리 사건 등등. 그저 바쁜 일상에 쫓기는 나 같은 평범한 사람들로서는 그들의 거짓말은 어처구니가 없고 안타까울 뿐이다. 하지만 더 화나게 하는 것은 그들의 자기 정당화였다. 마치 자신들이 짜여진 사회의 틀 안에서 어쩔 수 없이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길이라며, 그리고 자신들에게는 그럴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었다며.. 거짓말에 대해서는 물의를 일으켜 죄송하지만 자신들도 피해자라는 그럴싸한 자기 변호가 자연스레 뒤따랐다. 심지어 더 심한 경우에는 끝까지 발뺌을 하며 자신이 옳았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었다. 그런 이슈들을 바라보며 나는 '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면 끝날 것을 저렇게 인정하지 않고, 정당화 시키는 건지'라는 의문을 갖곤 했었다. 정말 자신이 한 잘못을 모르는 것인지, 자꾸 자신의 잘못을 축소화시키려 하는데 그래야만 하는 이유가 있는지.... 이 책은 나와 같은 궁금증을 가졌던 이들에게 명쾌한 답변을 해주는 '거짓말의 정당화'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사람들은 살아가며 거짓말을 하게 된다. 거짓말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삶의 행위 중 하나인데, 물론 잘못된 행위이기는 하지만 하지 않을 수는 없는 행위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거짓말을 한데에서 그치지 않고 자연스레 자기정당화라는 방패로 자신을 방어한다. 이 책에는 거짓말과 자기정당화는 항상 함께 붙어다니는 요소라고 주장하며 다양한 사례들을 제시해주면서 왜 그들이 거짓말을 정당화하게 되는지, 이로인해 자신의 기억을 어떻게 스스로 조작하는지를 흥미롭게 제시해준다. 가끔 자신은 정당화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지만 알고보니 스스로 거짓말을 과거의 기억 속에서 나에게 유리한 방향의 기억으로 변환하는 경우였다. 이처럼 인간은 자신을 지키기 위해 정당화라는 도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책을 읽다보면 신문, 뉴스에 나오는 사람들의 거짓말에 대한 정당화(왜 그들이 그런 반응을 보였는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그들의 거짓말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우리의 일상 속에서 이루어지는 작은 거짓말이라도 무의식 중에 정당화의 심리가 따른다는 부분이 굉장히 흥미로웠다. 나 같은 경우도 내 성격 중에 맘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 내가 이런 성격을 갖게 된 건 고등학교 1학년 때 어떤 사건 때문이라고 지금까지 생각해왔었는데, 얼마전 중학교 동창들을 만나면서 그것이 나의 착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중학교 시절에도 나는 그런 성격을 지닌 아이였던 것이다. 아무래도 나의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을 어쩔 수 없이 갖게 되었다고 정당화시킨 것 같았다.

 

 

거짓말이라는 행위와 이에 따른 자기정당화라는 심리학적 접근은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흥미로운 연구였다. 책을 읽는 내내 조금 과장된 부분도 눈에 띄기는 했지만 그만큼 인상 깊게 읽을 수 있었다. 거짓말과 자기정당화로 시끄러웠던 작년 한 해. 올 해는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 수 있는 사회로 다시 태어났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 책을 내려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