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작년 대한민국은 한-미 FTA로 논란이 많았다. 세계화 흐름에 하루 빨리 한국도 합류해야한다는 주장과 아직은 준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스스로를 더 강하게 다듬을 시간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무섭게 대립하고 있었다. 한-미 FTA를 둘러싼 공방은 자유무역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가 아닌, 조금더 미룰 수 있느냐, 없느냐였다. (물론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굉장히 복잡해지지만..) 이처럼 언제부터인가 시장개방은 이제는 피할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 그리고 많은 이들이 자유무역이 전세계 경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더불어 시장개방을 하지 않는다면 알아서하라는 압력이 존재한다. 어차피 우리가 원하든 원치않든 자유무역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과정이다. IMF, WTO, 세계은행과 더불어 미국과 같은 강대국들은 신속한 자유무역이 그 나라와 세계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런 주장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도 될까. 이런 고민에서 시작한 것이 바로 이 책. 나쁜 사마리아인들이다.

 

장하준 교수는 이제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신자유주의에 거침없이 태클을 건다. 현재 신속한 자유무역을 주장하고 있는 3총사(IMF, WTO, 세계은행)와 강대국들은 개발도상국들에 시장개방과 자유무역으로 (친절한 안내자마냥) 인도해주고 있지만 보이는 그대로가 진실이 아님을 경고한다. 신자유주의를 외치는 강대국들 역시 강한 규제로 현재의 경제부국이 될 수 있었음을 일깨워준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신자유주의 쪽의 이론들을 많이 접했었기 때문에 공기업들을 민영화시켜야 효율적이다, 강력한 규제는 경제의 원활한 흐름을 막는다 같은 이론들을 너무나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한 쪽의 주장만을 듣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깨달을 수 있었다. 읽다보면 너무 신자유주의를 너무 까는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정신없이 비판을 가해댄다. 하지만 책 표지에 쓰여진 노엄 촘스키의 말처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세계화 시대에 살고 있는 인간으로서 한 번쯤은 꼭 고민해보아야 할 이야기들이었다.

 

보통 이런 경제서적은 어렵게 느껴지곤 한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책들과는 달리 쉽게 읽어내려갈 수 있었다. 아마 나와는 별로 관계가 없을 것 같은 이야기나, 시험을 보기 위해 공부해야하는 이론들이 아닌 내가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모습을 직시하고 문제점들을 꼬집어준 현실적인 이야기였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리고 만약 이 책이 흔히 통용되는 경제발전의 원리인 신자유주의를 장하준 교수 입장에서 옳지 않다고 주장만 했다면 공감하지 못했을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경제학적인 지식에 실제 있었던 역사적인 사실들, 그리고 우리 실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부분들을 잘 버무려서 굉장히 흡입력있고 설득력있는 경제서적을 만들어내었다. 읽는 내내 지루함없이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던 소장가치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