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앉아 금琴을 타고 샘터 우리문화 톺아보기 2
이지양 지음 / 샘터사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다른 나라의 사람들이나 학생들은 그들의 전통 문화, 전통 음악과 춤을 자연스럽게, 즐겁게 소화하고 영유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중, 고등학교 학창시절에나 일주일에 한, 두시간씩 판소리, 전통악기의 소리를, 그나마 그 시간도 지겨워하고 지루해하면서 배우고 있다. 솔직히 음악시간에 배우는 전통음악에 대한 지식과 정보들은 시험을 보기위해 암기해야하는 대상일 뿐이지 대중음악, 힙합이나 R&B처럼 피곤할 때 에너지를 충전하고, 우울할 때 기분을 풀어주는 즐김의 대상은 아니다. 만약 나에게 같은 시간에 하는 클래식 음악 공연과 판소리 음악 공연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사람들마다 취향이 다르기 때문에 모를 일이지만 나는 클래식음악을 선택한다. 조금더 분위기 있을 것 같고, 지식인들의 문화공연이라는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정말, 우리의 전통음악은 어쩔 수 없이 지루해할 수 밖에 없는 것인가.
 
나는 책읽기를 좋아한다. 심심할 때, 지루할 때마다 책읽기는 나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해주고 색다른 느낌을 준다. 하지만 수업 과제로 주어진 독서와 그에 대한 독후감 과제는 지겹고 짜증나곤 한다. 수동적인 것과 능동적인 것의 차이일 것이다. 전통 음악 역시 마찬가지가 아닐까. 만일 우리가 유흥의 대상, 기분전환의 대상으로서 전통음악을 접했다면.. 음악 시간에 외워야하는, 선생님들이 억지로 주입해주는 강제의 교육이 아니었다면 현재 전통음악의 위상은 지금과는 다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지금 내가 하는 이야기가 뻘글이라고 생각하는 이가 있는가? 그렇다면 이 책을 한번 읽어보길 추천한다.
 
이 글의 소재는 전통음악이다. 하지만 전통음악에 대한 이야기만 담겨 있지는 않다. 그 음악과 그 시대의 모습, 그 음악과 함께 기억되고 있는 자신의 추억 등 다양한 이야기들과 전통음악이 맛나게 어울려서 있다. 읽다보면 '정말 이 음악이 그런 느낌일까.' 같은 궁금증이 생기게 되고 결국 듣게 되었다. 그리고 그 음악을 듣고는 실망은 없었다. 중학교 시절 억지로 듣던 그 지겹던 음악들이 아니었다. 나의 복잡한 마음을 가라 앉혀주고, 그간 피곤했던, 우울했던 나의 기분들을 얼러주고 달래주었다. 우리의 음악이어서 그랬을까. 다른 어떤 음악들보다도 나의 마음을 잘 알고 적절하게 치유해주는 듯한 기분이었다. 정말 이 노래, 이 시조, 이 판소리들이 내가 기억해오던 그 전통 음악이었단 말인가. 사람들은 자신이 접해보지도 않아놓고 다른 이들의 말에 휩쓸려 실제 그러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다. 나 역시 그런 귀 얇은 사람들 중의 하나이다.
 

우리의 것, 우리의 음악이 부끄러운가? 그렇다면 당신이 부끄러워하는 그 문화들을 직접 체험을 해보고 평가를 할만한 위치인지 되돌아보라고 충고해주고 싶다. 식탁에 놓여있는 음식을 보기만하고 맛있겠네,, 어쩌내 평가하여 다른 이들에게 알리기보다는 직접 먹어보고 경험해보고 나서 평가하는 것이 양심적으로 적절한 행동이지 않을까. 우리의 음악. 우리가 사랑하지 않는다면 누가 사랑하고 아끼겠는가. 그간 쿵짝 거리는 힙합 음악들,, 워워~ 소 몰이하는 R&B 발라드들, 버터 바른 목소리로 알아듣지 못할 말들을 쏟아내는 팝뮤직들은 잠시 지워두고 우리의 음악들을 MP3에 넣어보았다. 얇은 책 한권을 통해 우리 음악의 진정성을 느낄 수 있게 되었고 경험할 수 있게 된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