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상자의 역습 - 대중문화가 어떻게 우리를 더 똑똑하게 만들었나?
스티븐 존슨 지음, 윤명지.김영상 옮김 / 비즈앤비즈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하루라도 대중매체를 접하지 않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요즘 영화 천만 관객은 매 해마다 3편 정도씩은 나올 정도로 영화는 대중들의 자연스런 놀이문화가 되었고, 스타 크래프크, 카오스, 피파 온라인 등 자신이 즐기는 게임이 하나 정도는 있을 것이다. 심지어는 게임 중독 현상까지 보이는 사람들이 나타날 정도로 사랑을 받고 있다.  또 사람들은 심심할 때 어떤 행동을 취할까. 물론 책을 읽는 이들도 있고 자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심심하면 TV나 봐야지..'라고 생각한다. 이처럼 모든 이들의 주목과 사랑을 받고 있는 대중문화. 하지만 사람들의 시선은 그다지 곱지만은 않다. 바보상자, 사람을 폐인으로 만드는 게임 등 사람을 망가뜨리는 단어들은 대중매체를 가르키는 말이 되었다. 물론 가끔마다 '대중문화가 ~한 단점들은 있지만 *한 장점들도 있다'라고 호평하는 주장들도 있다. 하지만 저자는 이러한 주장이 너무 비판만 하기 뭣하니까 열에 하나정도는 칭찬해 주는 것이라 이야기 한다. 저자는 대중문화가 우리를 똑똑하게 만들어 주었다고 주장한다. 보통 사람들의 생각과는 반대로 몇몇의 단점들은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우리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해준다고 한다. 과연 그의 생각은 어떤 것일까.

 

저자는 날로 발전하고 있는 대중문화 트렌드를 슬리퍼 커브라고 짓는다. 이는 슬리퍼라는 영화에서 빌려온 단어인데 과거에는 사람에게 해를 입히는 음식들이 미래의 시대에는 가치있고 소중한 음식이 되는 모습을 보고 따왔다고 한다. 이처럼 가치가 정반대로 바뀌고 변화하는 것들이 우리가 사는 세상에도 참 많다. 하지만 대중문화는 그런 복을 타고나지는 못했는 듯 하다. TV가 처음 발명되고 보급되었을 때 TV프로그램들은 단순하고 생각없이 볼 수 있을 정도고 단조로웠다. 하지만 지금은 어떠한가. 잠시라도 정신을 놓고 있으면 그 프로그램의 모든 것을 놓쳐버리는 고도의 두뇌놀이를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들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고 시청자들의 생각과 의견으로 움직이는 프로그램들도 있다. 하지만 바보상자라는 평가는 예나 지금이나 바뀌지 않았다. 그만큼 발전한 대중문화인 만큼 그에 대응되는 변화된 평가가 필요하지만 사람들의 인식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나 역시도 책을 많이 좋아하기는 하지만 TV를 보는 시간이 더 많다. 이 때 어른들은 책을 보는 나에게는 칭찬을 해주지만 TV를 보는 나에게는 '젊은 청춘을 쓰잘떼기없이 소비하고 있다'라고 꾸중받기 일수이다. 저자는 억울해 할 대중문화에게 새로운 평가를 해준다. 대중문화는 분명 똑똑해지고 있고 그런 변화는 우리 인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지만 저자가 미국인이고 미국 대중문화를 누리는 사람이기 때문에 이 책에서 얘기하는 드라마나 게임들은 미국인들에게 사람받는 것들이다. 내가 즐겨보았던 황진이나 주몽, 김삼순을 대상으로 논했다면.. 또는 내가 본 미국 드라마인 프리즌 브레이크나 그레이 아나토미에 대해 얘기해 주었다면..내가 재밌게 봤던 영화나 내가 즐겨했던 게임인 스타, 피파온라인 등에 대해서 논해주었다면 더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을 듯 하다. 내가 경험해보지 못한 것들에 대해 열심히 얘기하고 있는 저자가 안쓰러울 정도로 남의 얘기를 듣는 듯한 거리감이 느껴졌다. 가끔 아는 대중문화가 나오면 굉장히 반가워 하면서..

 

대중문화의 가치는 분명 변화하고 있다. 사람들은 지루하고 그 전과 같은 것을 지겨워한다. 그런 사람들의 기준에 맞게 대중문화가 바뀌다보니까 대중문화도 똑똑해지고 있고 과거 대중문화에 비교하여 굉장히 광범위하고 다채로운 내용과 지식들을 담고 있다. 하지만 그를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선은 여전히 곱지 않다. 우리는 대중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평가를 해야할 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