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용하고 끈질기게 살아남은 잡초들의 전략
이나가키 히데히로 지음, 이정환 옮김 / 나무생각 / 2024년 7월
평점 :
예측할 수 없는 환경을 기회로 바꾸고 생명을 이어 나가기 위해 도전하고 분투하는 잡초들의 지능적인 전략을 통해 우리의 삶도 되돌아 볼 수 있는 책이다.
위로 뻗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포기하지 않고 옆으로 따위가 힘들면 땅 속으로 생장하는 잡초.
잡초는 혹독한 환경을 오히려 즐기는지도 모른다. 어떠한 환경속에서도 그 환경을 적절히 이용하면서 살아남는 방법을 모색한다. 우리는 변화에 민감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변하지 않으면 금새 뒤처지고 말아버린다. 미래를 알 수 없기에 불안한 환경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잡초의 습성을 보면서 우리가 배울 것, 생각해 볼 것이 많다.
햇빛을 받기 위해 식물들은 부단한 노력을 한다. 아스팔트 틈에서도 꽃을 피우는 잡초 “개미자리”는 꽃들의 입장에서는 불쌍한 존재로 생각한다. 생명의 위협도 많고 토양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햇빛을 다른 식물의 경쟁없이 충분히 받을수 있다는 점에서는 큰 장점이 있다. 우리의 인생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지금의 환경이 최악일 꺼라고 생각하고 후회와 부정적 생각으로 가득차 있을 때 자신의 주변을 둘러보면 다른이들 보다 그리 나쁘지 않고 오히려 더 큰 행복을 찾을 수 있는 조건들이 있다는 것을 생각해 봐야 한다. 우리에게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잡초들은 여러 가지 환경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기만의 생존방식으로 살아가고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채 불평불만만 하고 있지 않는다. 조용하고 끈질지게 살아남은 잡초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과 자신을 반성해 봐야 한다.
“역경을 기회로 이용하다” 질경이는 씨앗에 점액질이라는 점착성 물질을 가진 식물이다. 사람에게 밟히기 쉬운 장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질경이의 씨앗은 비가 내려 물에 젖으면 점액질을 내어 바닥에 달라붙어 있는다. 사람이나 자동차가 지나갈 때 신발이나 바퀴에 붙어서 이동하여 번식하게 된다. 아스팔트라는 열악한 환경에서 자라면서도 생장을 위해 살아남기 위한 방법을 찾아낸다. 우리에게 다가오는 시련과 역경에도 무언가 방법이 있고 탈출구가 있을 것이다. 단지 어디인지 찾지 못했을 뿐이다. 좀 더 노력한다면 그 탈출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