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방사능 물질을 발견한 마리 퀴리 HOW? 위대한 실험관찰 만화
신현정 지음, 김덕영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손영운 기획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 도서를 즐겨읽는 초딩 아들이

요즘 꽂힌(?) 책이 있답니다.

바로, [세상을 바꾼 위대한 실험관찰 HOW?] 시리즈인데요,

이 시리즈는 교과서에서 만날 수 있는 과학의 법칙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는지 생생하게 알려주는 책이라

초딩 아들이 평소 갖고있던 호기심을 해결해주는 고마운 책이예요 ㅎㅎ

 

솔직히 초 3 아들이 이 시리즈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어요.

하지만!! [세상을 바꾼 위대한 실험관찰 HOW?]는 만화 형식이라

어렵게만 느껴지는 실험 가설과 그 가설이 실험으로 확인되어 법칙으로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답니다.

 

즉, 만화를 재미있게 읽기만 해도

수많은 과학자들이 과학 법칙을 만들기까지 얼마나 많은 수고와 노력을 했는지 알 수 있으며

과학자들의 연구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과학 이론과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요.

 

 

 

 

이번에 만난 책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실험관찰 HOW?] 시리즈중 세 번째 도서인

<방사능 물질을 발견한 마리 퀴리> 예요.


퀴리 부인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 라는 거에요.

이 책을 읽기 전까지만 해도 퀴리 부인은 그저 대단히 똑똑한 사람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이 책을 통해 과학자의 길이란 반복되는 실험의 고통을 감내하고

끊임없이 노력하며 인내해야 되는 힘든 직업임을 알게 되었어요.

그러면서 과학자들에 대해 저절로 존경심이 생기더라고요.

 

 

[세상을 바꾼 위대한 실험관찰 HOW?]는

초등학교뿐만 아니라 중학교 과학 교과서와 연계되어 있어요.

따라서 교과서와 함께 본다면

교과서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학교 공부에도 많은 도움을 주지요.

 

 

 

 

[세상을 바꾼 위대한 실험관찰 HOW? ③ - 방사능 물질을 발견한 마리 퀴리]에서는

마리 퀴리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방사능 실험과 관련된 주요 과학자들의 업적도 배울 수 있어요.


이렇듯 '등장인물 소개'가 일목 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

방사능 실험과 관련된 과학자들의 계보를 한눈에 알 수 있어 좋더라고요.

 

 

 

 

또한 '프롤로그' 에서는 이 책의 주인공인 마리 퀴리의 과학적 삶뿐만 아니라

그녀의 일대기가 소개되어 있답니다.

그래서 마리 퀴리의 과학자로서의 삶 이면도 알 수 있어 좋아요.



 

[세상을 바꾼 위대한 실험관찰 HOW?] 시리즈는

장별로 주요 과학자를 중심으로 과학 이론을 자세히 알려줘요.

 

 

각 장의 시작은 주요 과학자의 이론이 과학 교과 내용과 함께 나와있고요.

 

따라서 앞서도 말씀 드렸듯이

[세상을 바꾼 위대한 실험관찰 HOW?]는 과학 교과서와 함께 보면 더 좋은 시리즈 입니다.

 

 

 

 

책은 'X선을 발견한 뢴트켄'의 이야기로 시작해요.

 

이 책을 통해 'X선의 발견 과정'과 'X선이 어떻게 사용'되고

뢴트켄이 새로 발견한 광선을 왜 'X선' 이라고 이름 붙였는지 알게 되었어요.

 

'X선' 이란 이름은 뢴트켄이 광선의 정체를 잘 몰라서...

그러니까 수학에서 방정식의 미지수를 X라고 부르니

뢴트켄도 X선이라고 이름지었다고 하네요 ㅎㅎ

 

뢴트켄은 'X선'의 발견으로 최초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어서 다음 장에는 '라듐을 발견한 마리 퀴리' 이야기가 나와요.

 

 

 

마리 퀴리가 살던 시대에는

여자가 대학교에 진학하거나 사회 생활을 한다는 건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어요.

다행히 마리는 마리의 재능을 알고

누구보다 그녀를 적극 지지한 그녀의 남편인 피에르 퀴리가 있었지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퀴리 부인이 과학자로서 뛰어난 점도 있었지만

그녀가 피에로 퀴리를 만나 그의 적극적인 지지와 도움이 있었기에

과학사에 큰 획을 그을만한 업적을 남길 수 있었고

또한 그녀가 사랑하는 과학자의 길도 갈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마리 퀴리는 남편과 함께 방사능 물질인 라듐과 폴로늄을 발견하고

라듐을 분리하는데 성공해요.

그래서 방사화학과 핵물리학이라는 새로운 연구 분야의 창시자가 되지요.

또한 마리는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가 됩니다.


이 책을 읽고 '방사능' 이라는 새 용어를 만든 과학자가

바로, 마리 퀴리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네요.

(이름도 참 잘 짓는 퀴리부인입니다~)

 

 

 

책에는 노벨상 수상자라는 영광스런 결과 뒤에

그녀가 아무도 가지않은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기 위해

얼마나 끊임없이 반복되는 지루한 실험을 해야만 했고 인내해야 했는지도 자세히 나와있어요.

 

마리는 방사능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돌덩어리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초 작업을 4년이나 계속했고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실험을 계속 했다고 하요.


 

마리 퀴리는 두 번이나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일뿐만 아니라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났을 때 적극적으로 전쟁에 반대하고

직접 엑스선 차량을 운영하며 부상 당한 병사들을 살피는 등

자신의 전문 분야를 활용해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구하기도 했어요.

과학자로서의 마리 퀴리의 업적만도 대단한데

위험천만한 전쟁터를 누비며 병사들을 구했다니!!

한 인간으로서 그녀의 삶 자체도 훌륭하더군요.

게다가 그녀는 과학은 인류의 자산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자신이 연구한 것에 대해 특허를 내지 않았다고 해요.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이 자유롭게 응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과학자이기도 합니다.


 

이어서 책에는 마리 퀴리의 계보를 잇는 방사능 연구자들인

러더퍼드, 이렌-졸리오 부부 그리고 리제에 대한 이야기도 나와요.

 

 

 

 

본문의 이야기가 끝낸 '에필로그' 에서는

<X선부터 원자력 발전까지> '방사능 실험의 계보'를 한눈에 볼 수 있어요.

 

여기서는 본문의 내용이 정리되어 있어

과학자 중심으로 과학 이론의 발전상을 다시한번 복습해 볼 수 있어 좋답니다.

 

 

 

마지막으로 책 중간중간 '정보박스'를 통해

이론과 개념 설명이 자세하게 나와있어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배울 수 있어요.



 

<방사능 물질을 발견한 마리 퀴리>는 권장연령이 8세 이상이에요.

하지만 초등 3학년 아들이 보기엔 좀 어려운 과학책이었어요.

아직은 과학의 기초 이론을 배울뿐더러

무엇보다 과학 이론이나 가설이 실험으로 밝혀지기까지의 과정과 과학 법칙을

완전히 이해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거든요.

하지만 학습만화라 그런지 어렵고 이해안되는 부분이 나와도

아들이 끝까지 책을 보긴 하더라고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초등 교과내용뿐만 아니라 중학교 교과내용까지 연계된 책이라

활용기간이 길다는 점과

과학의 원리와 계보를 한눈에 알 수 있다는 점이 특히 마음에 들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