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한국 화타지 과학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혁명의 구조 - 출간기념50주년 제4판 까치글방 170
토머스 S.쿤 지음, 김명자.홍성욱 옮김 / 까치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이 많아 길게 올려봅니다..😅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 Thomas Samuel Kuhn

○ 정상과학이란?

본 책은 기존에 확립된 이론이 영역을 구축한 정상과학(Normal Science)의 이전 패러다임을 정의한다. 정상과학은 새로운 발전을 얻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으며, 그 목적이 기존의 패러다임을 명료화하려는 프로젝트라도 예기치 못한 새로움을 겨냥하지 않는다. 오직 복합적인 도구적, 개념적 그리고 수학적 문제풀이과정 들의 ˝퍼즐 풀이(Puzzle-Solver)과정에 불과하다.

○ 새로운 정상과학의 출현!

그러나 퍼즐풀이과정은 과학지식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첨단의 아이디어들과 새로운 사실이 등장하여 기존의 정상과학의 패러다임에 일치하지 않는 벼칙(Anomaly)과 변이현상이 초래한 위기(Crisis)가 도래한다. 이 변칙현상은 이론적 인식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면서, 저항도 수반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포함한다. 결국 기존의 정상과학의 패러다임의 변화가능성을 인정하는 지표들이 확인되면 또 다른 정상과학의 패러다임이 형성된다.

○ 과학 혁명은 존재하는가?

과학에서 패러다임의 대체와 변화는 과연 혁명이라고 할 수 있는가? 본 도서의 핵심주제이다. 혁명으로서의 성격을 인정할 수 있는 범위는 오직 기존 패러다임을 생성하고 신봉한 과학자 그룹이 소멸되거나 전향된 후 새로운 기술을 도입한 또 다른 과학자 그룹의 탄생이다. 즉 정상과학을 변화시키는 과학자 그룹 주체의 혁명적 변화에 불과하다. 그러나 과학이론 자체는 기존의 정상과학의 이론과 배치(Incompatible)되거나 갈등요소로소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새로운 이론은 기존에 인식하지 못한(Incommensurable, 공약불가능성) 또다른 자연의 규칙성을 노출시킨 과정에 불과하며, 추후 또 다른 과학이론으로 대체될 운명적 과정일 뿐이다.

○ 과학 혁명의 예시들?

천문학과 물리학 분야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뉴턴의 만유인력,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있다. 물리화학에서는 아리스트텔레스와 갈릴레와 진자물리, 닐스 보어, 하이젠베르그의 불활정성의 원리와 양자물리학의 스티븐 호킹, 생명과학에서는 기독교의 인간창조설과 다윈의 자연 진화론이 대표적인 패러다임의 전개 과정이다. 이러한 예시들도 과학자 인간의 탐지능력(천제망원경, 현미경, 컴푸터 등 탐지 기술)의 발전으로 자연에 대해 다양한 시각적 인식능력의 확장 또는 게슈탈트(Gestalt) 전환에 따른 것이다.

○ 결론 : 과학기술은 혁명이 아니다. 적응(Adaptation)과 변화(Change)과정이다.

기존의 패러다임에 따른 정상과학은 위기와 변화를 통한 새 패러다임으로 변화된 새로운 적응과정인 또 다른 정상과학이 출현한다. 또한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패러다임은 서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공약불가능성(Incmommensurable)이라고 토마스 S 쿤은 주장한다.

2. 감상평

- 토마스 S 쿤의 공약불가능성에 대한 비판

쿤은 기존의 정상과학과 현재와 미래의 정상과학은 상호간에 공약불가능성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정상과학의 변화과정을 설명하는 주된 변수로서만 인정될 수 있다. 기존의 이론에 대한 위기와 변이성에 대한 공약불가능성이다. 정상과학은 토마스 S 쿤도 지적한 바와 같이 자연을 인식하는 인간의 기술과 시야가 확대됨으로서 기존패러다임의 위기가 연속해서 발견되는 긍정적인 과정으로 바라봐야 한다. 다소 비야적으로 말하자면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과 코페르니쿠스이 지동설도 결국은 인간이 우주를 보는 관점의 서로 다른 수단(시각차이)에 불과하다. 무한히 넓은 우주의 관점에서 보면 프톨레마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의 주장 모두 옳다고 인정해야 할 것이다. 결국 인간의 우주론의 변화가 있을 뿐이다.

- 과학기술에도 혁명이 존재한다?

쿤의 주장과 마찬가지로 과학은 진화하지 않는다고 본인도 인정한다. 과학기술을 적용한 생활도구의 편리성이 증가할 뿐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기차, 스마트폰, 각종 전자기기, 산업에서의 생산기술이 빨라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기술은 채택한 인간의 행복은 진화되었다고 어느 누구도 인정하지 못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인간생활에 적용은 과연 인간을 해방시켰는가?˝는 또 다른 고민을 남겨놓았다.

- 과학과 철학의 변주(Variation)

언어철학의 대가인 오스트리아의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적 탐구˝에서 ˝말할 수 없는 것은 침묵해야한다˝하며, 언어에 관한 인식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즉 언어의 가족유사성(Family Resemblance Terms)을 지적하며 그 언어의 종류(Family)를 사용하는 범주로서 인식할 뿐이라고 하였다. 토마스 S 쿤의 정상과학도 그 패러다임을 구성한 과학자들이 유사한 시각적 인식을 구성한 것에 불과할 수 있다. 이런 인식하는 시각의 전개로 새로운 패러다임이 유발되는 것이다. 즉 과학도 인문, 철학, 정치, 역사 등과 유사하게 직선적인 발전과 혁명과정이 아니라 동일한 시각을 지닌 그룹이 형성한 패러다임의 전개와 유사하다.

- 나의 삶의 지표서로 토마스 S 쿤이 다가오다.

현대는 전환기의 과정이다. 기독교적인 직선주의, 과학기술의 이성주의, 플라톤적인 전체주의, 아리스트텔레스적인 계몽주의에서 상대주의, 몰가치주의, 개인주의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르네상스와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이성과 자유와 국가가 우선시 되었다. 그러나 인간은 이제 고독과 고뇌하는 외로움도 느끼고 있는 자아를 깊게 인정하기 시작했다. 너무 많이 힘든 기간인 과거 200년간 달려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기 2000년 동안 이렇게 급변한 시기가 없었고, 인간은 매 순간 적응하느라 힘들었다.

매 순간 자신의 이성과 감성간의 균형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잠시 뒤쳐진 감성을 기다리기 위해 이성도 휴식을 가져야 할 때이다. Corona Virus19가 그 기회를 인간에게 경고하는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 Thomas Samuel Kuhn

○ 정상과학이란?

본 책은 기존에 확립된 이론이 영역을 구축한 정상과학(Normal Science)의 이전 패러다임을 정의한다. 정상과학은 새로운 발전을 얻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으며, 그 목적이 기존의 패러다임을 명료화하려는 프로젝트라도 예기치 못한 새로움을 겨냥하지 않는다. 오직 복합적인 도구적, 개념적 그리고 수학적 문제풀이과정 들의 ˝퍼즐 풀이(Puzzle-Solver)과정에 불과하다.

○ 새로운 정상과학의 출현!

그러나 퍼즐풀이과정은 과학지식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첨단의 아이디어들과 새로운 사실이 등장하여 기존의 정상과학의 패러다임에 일치하지 않는 벼칙(Anomaly)과 변이현상이 초래한 위기(Crisis)가 도래한다. 이 변칙현상은 이론적 인식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면서, 저항도 수반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포함한다. 결국 기존의 정상과학의 패러다임의 변화가능성을 인정하는 지표들이 확인되면 또 다른 정상과학의 패러다임이 형성된다.

○ 과학 혁명은 존재하는가?

과학에서 패러다임의 대체와 변화는 과연 혁명이라고 할 수 있는가? 본 도서의 핵심주제이다. 혁명으로서의 성격을 인정할 수 있는 범위는 오직 기존 패러다임을 생성하고 신봉한 과학자 그룹이 소멸되거나 전향된 후 새로운 기술을 도입한 또 다른 과학자 그룹의 탄생이다. 즉 정상과학을 변화시키는 과학자 그룹 주체의 혁명적 변화에 불과하다. 그러나 과학이론 자체는 기존의 정상과학의 이론과 배치(Incompatible)되거나 갈등요소로소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새로운 이론은 기존에 인식하지 못한(Incommensurable, 공약불가능성) 또다른 자연의 규칙성을 노출시킨 과정에 불과하며, 추후 또 다른 과학이론으로 대체될 운명적 과정일 뿐이다.

○ 과학 혁명의 예시들?

천문학과 물리학 분야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뉴턴의 만유인력,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있다. 물리화학에서는 아리스트텔레스와 갈릴레와 진자물리, 닐스 보어, 하이젠베르그의 불활정성의 원리와 양자물리학의 스티븐 호킹, 생명과학에서는 기독교의 인간창조설과 다윈의 자연 진화론이 대표적인 패러다임의 전개 과정이다. 이러한 예시들도 과학자 인간의 탐지능력(천제망원경, 현미경, 컴푸터 등 탐지 기술)의 발전으로 자연에 대해 다양한 시각적 인식능력의 확장 또는 게슈탈트(Gestalt) 전환에 따른 것이다.

○ 결론 : 과학기술은 혁명이 아니다. 적응(Adaptation)과 변화(Change)과정이다.

기존의 패러다임에 따른 정상과학은 위기와 변화를 통한 새 패러다임으로 변화된 새로운 적응과정인 또 다른 정상과학이 출현한다. 또한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패러다임은 서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공약불가능성(Incmommensurable)이라고 토마스 S 쿤은 주장한다.

2. 감상평

- 토마스 S 쿤의 공약불가능성에 대한 비판

쿤은 기존의 정상과학과 현재와 미래의 정상과학은 상호간에 공약불가능성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정상과학의 변화과정을 설명하는 주된 변수로서만 인정될 수 있다. 기존의 이론에 대한 위기와 변이성에 대한 공약불가능성이다. 정상과학은 토마스 S 쿤도 지적한 바와 같이 자연을 인식하는 인간의 기술과 시야가 확대됨으로서 기존패러다임의 위기가 연속해서 발견되는 긍정적인 과정으로 바라봐야 한다. 다소 비야적으로 말하자면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과 코페르니쿠스이 지동설도 결국은 인간이 우주를 보는 관점의 서로 다른 수단(시각차이)에 불과하다. 무한히 넓은 우주의 관점에서 보면 프톨레마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의 주장 모두 옳다고 인정해야 할 것이다. 결국 인간의 우주론의 변화가 있을 뿐이다.

- 과학기술에도 혁명이 존재한다?

쿤의 주장과 마찬가지로 과학은 진화하지 않는다고 본인도 인정한다. 과학기술을 적용한 생활도구의 편리성이 증가할 뿐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기차, 스마트폰, 각종 전자기기, 산업에서의 생산기술이 빨라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기술은 채택한 인간의 행복은 진화되었다고 어느 누구도 인정하지 못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인간생활에 적용은 과연 인간을 해방시켰는가?˝는 또 다른 고민을 남겨놓았다.

- 과학과 철학의 변주(Variation)

언어철학의 대가인 오스트리아의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적 탐구˝에서 ˝말할 수 없는 것은 침묵해야한다˝하며, 언어에 관한 인식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즉 언어의 가족유사성(Family Resemblance Terms)을 지적하며 그 언어의 종류(Family)를 사용하는 범주로서 인식할 뿐이라고 하였다. 토마스 S 쿤의 정상과학도 그 패러다임을 구성한 과학자들이 유사한 시각적 인식을 구성한 것에 불과할 수 있다. 이런 인식하는 시각의 전개로 새로운 패러다임이 유발되는 것이다. 즉 과학도 인문, 철학, 정치, 역사 등과 유사하게 직선적인 발전과 혁명과정이 아니라 동일한 시각을 지닌 그룹이 형성한 패러다임의 전개와 유사하다.

- 나의 삶의 지표서로 토마스 S 쿤이 다가오다.

현대는 전환기의 과정이다. 기독교적인 직선주의, 과학기술의 이성주의, 플라톤적인 전체주의, 아리스트텔레스적인 계몽주의에서 상대주의, 몰가치주의, 개인주의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르네상스와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이성과 자유와 국가가 우선시 되었다. 그러나 인간은 이제 고독과 고뇌하는 외로움도 느끼고 있는 자아를 깊게 인정하기 시작했다. 너무 많이 힘든 기간인 과거 200년간 달려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기 2000년 동안 이렇게 급변한 시기가 없었고, 인간은 매 순간 적응하느라 힘들었다.

매 순간 자신의 이성과 감성간의 균형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잠시 뒤쳐진 감성을 기다리기 위해 이성도 휴식을 가져야 할 때이다. Corona Virus19가 그 기회를 인간에게 경고하는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 지음, 최광열 옮김 / 아름다운날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