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폭풍의 언덕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8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종길 옮김 / 민음사 / 2005년 3월
평점 :
폭풍의 언덕은 읽는 내내 비바람을 맞는 듯한 강렬함을 준다. 몇 번이고 계속 읽으면서도 그 강렬함은 전혀 사라지지 않는다.
폭풍의 언덕의 첫 장은 '록우드'라는 세상에 회의를 느낀 남자가 세들어 오려고 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는 폭풍의 언덕에 몇 번 방문하고, 그리고 나중에는 유령을 보게 된다. 그리고 집 주인인 히스클리프가 창문을 열어젖히고 온 몸으로 그 유령을 부르는 장면을 목격한다. 제발 들어오라고.. 애타게 부르짖는 그 모습은, 폭풍의 언덕을 한 번 읽고, 다시 읽을 때 온 몸에 전율이 흐르게 할 만큼 가슴 아픈 장면이다. 록우드는 폭풍의 언덕에 사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게 되고, 결국엔 엘렌 딘[애칭은 넬리]으로부터 그 두 집안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이 소설의 진정한 주인공은 히스클리프와 캐서린이다.
히스클리프는 어딘가에서 주워져서 캐서린과 같이 자라게 된다. 그 안에는 불타오르는 뭔가가 있어서 나중에 이 좁은 무대를 온통 휩쓴다. 캐서린을 자신처럼 사랑하지만, 캐서린이 다른 남자와 결혼하면서 모습을 감춘다. 그리고는 검은 불길을 태우면서 다시 나타나 [언쇼]가와 [린튼]가에 폭풍을 몰고 온다. 자신을 집요하게 괴롭혀왔던 힌들리의 재산을 사악하게 빼앗고, 힌들리의 아들 헤어튼에게 아무런 교육을 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캐서린의 남편인 에드거의 여동생을 유혹해 자식을 낳게 만들어 자신도 린튼가의 재산을 가질 수 있는 길을 만든다.
히스클리프가 비록 복수의 화신이라고 해도, 그를 마냥 미워할 수만은 없다. 그는 어렸을 적부터 같이 자라온 캐서린을 모든 영혼을 바쳐서 원한다. 그러나 그런 캐서린은 죽어버린다. 캐서린의 죽음을 듣고 그는 나무에 머리를 찧으며 가눌 수 없는 슬픔을 느낀다. 복수만을 생각하며 돌아온 악마같은 남자가 평범한 남자로 될 때가 바로 이때다. 그리고 이 장면이 히스클리프에게 끌리게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히스클리프는 자신의 아들을 사랑했던 캐서린의 딸인 캐서린[애칭은 캐시]과 결혼시킨다. 그리고 에드거가 죽자 그 재산은 아들인 린튼에게로, 그리고 린튼이 죽자 그 모든 재산은 다시 히스클리프에게로 넘겨진다. 그리고 히스클리프, 헤어튼, 캐시는 폭풍의 언덕에서 살게 된다.
히스클리프의 영혼의 절반인 캐서린 또한 성격이 강렬하다. 툭하면 단식을 하거나 짜증을 낸다. 캐서린 또한 히스클리프를 온 몸으로 사랑하지만, 그 사랑에 어쩔 수 없는 순수함이 더해져 비극을 낳는다. 히스클리프의 신분을 상승시키고 싶다는 마음만으로 캐서린은 에드거와 결혼한다. 가정부인 넬리와 이야기하면서 처음에는 재산이 어쩌고 하지만, 결국엔 히스클리프에게 나은 삶을 가져다 주고 싶다고 털어놓는다. 거짓같다고, 진정한 사랑이 아니라고 할 지도 모르지만 그것은 그녀의 히스클리프를 향한 애정에서 나온 먼지 하나 없는 순수함이다. 그녀는 히스클리프가 그녀보다도 더 그녀이며, 영혼은 서로 같은 것이고, 린튼의 영혼은 달빛과 번개 혹은 서리와 불처럼 다른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히스클리프는 앞 부분만 듣고 폭풍의 언덕을 떠나버린다. 캐서린은 히스클리프를 찾으며 슬퍼하지만, 결국 에드거와 결혼한다. 그러나 에드거의 헌신적인 사랑에도 불구하고, 히스클리프가 돌아오자 온 마음을 히스클리프에게 다시 주고 만다. 그리고 딸인 캐시를 낳다가 죽는다.
폭풍의 언덕에는 또 하나의 사랑이 있는데, 헤어튼과 캐시의 사랑이다. 처음에는 캐시가 헤어튼을 대하는 퉁명스러운 태도는 좋게 보려 해도 심하지만, 운명처럼 엮어진 것처럼 서로에게 이끌린다.
그리고 이 둘을 보면서 히스클리프는 마음의 공허함을 느낀다.
이야기가 끝나고 록우드는 후에 폭풍의 언덕을 방문하는데, 그곳에서 히스클리프가 비바람을 맞고 괴기스럽게 죽었음을 듣는다.
폭풍의 언덕에는 가설이 하나 있다. 모두 화자인 엘렌 딘=넬리가 교묘하게 꾸몄다는 설이다. 이 시선으로 책을 읽으면 내용이 확 바뀌게 된다. 넬리는 두 집안을 오가면서 모든 것을 봐오고, 꾸미고, 바꾼다. 자신의 잘못은 얼버무리면서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넘어간다. 그리고 폭풍같은 사랑밖에 할 줄 모르는 주인공들을 마음대로 움직인다. 그 잔혹한 악마인 히스클리프마저도.
폭풍의 언덕의 인물들은 하나같이 직선적이고 부딪치는, 강렬한 성격의 소유자다. 마치 온몸으로 세상을 마주하는 것 같다. 배려할 줄은 모르고 그저 자신의 마음을 뒤집어 내놓는다. 그 안에 거짓은 없다. 그렇지만 이런 식으로 마음을 드러내는 폭풍같은 사랑도 괜찮지 않을까. 이렇게까지 사랑하고 사랑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다른 건 아무래도 좋지 않을까. 모든 영혼을 바쳐서 극한까지 서로를 원하는 그 마음이 자꾸만 책을 읽도록, 마지막까지 읽어버리도록 만든다. 가슴을 불안하게 하면서도, 짓누르면서도 읽게 되는 이유는 작가가 혼신을 다한 소설이기 때문일 것이다.
읽고 난 뒤에도 마음 한켠에 남게 되는, 그런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