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봉주 대사의 성경의 맥을 잡아라
문봉주 지음 / 두란노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천수 목사 표절한 내용 천지. 이효리도 표절하면 죄송하다고 하는데 이사람 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을 병들게 하는 여덟 가지 욕심
헨리 클라우드.존 타운센드 지음, 이여진 옮김 / 사랑플러스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놔..

안쓰려고 하는데 너무해서 쓴다. 평소 존 타우센드와 핸리 클라우드의 저서들이 좋아서 읽었다.

그런데 이건 번역이 너무하자나!!

번역을 한것인지 사전 펴놓고 직역을 한것인지.;;;;

번역한 분에게는 좀 미안지만 이러한 번역을 그대로 출판한 사랑플라스 책임을 감수하는 것이 어떨까?.... 으흐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리학에 물든 부족한 기독교 옥성호의 부족한 기독교 3부작 시리즈 1
옥성호 지음 / 부흥과개혁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기가막히게 논리적으로 쓰여졌고 이성적인 자극을 주는, 그리고 읽고 나면 현 기독교에대해서 실날하게 비판을 나오게 하는 책.  탁상공론에 치우쳐진 기독교 근본주의. 해결책은 제시해주지 않는 것이 정말 안타깝다.

칼빈, 존즌, 스크롤, 파이퍼, 스펄전, 에드워즈, 루이스, 이런 유명하신 분들 설교 몇번 들어보고 하면 다 흥분한다.  사람들이 안읽어서 그렇지 기독교인 이라면 다 읽어보길 권장. 특히 에드워드 책들은 믿음에 정말 도움이 된다. 흥분하고 교회를 보면 '개통'할만한 한숨이 나오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한국 교회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했다가 비판으로 끝나버리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그럴바엔 로이드 존스 설교집을 읽어보라고 적극 권유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

저자는 심리학과 기독교에 어느정도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읽다 보면 굉장히 심리학에서도, 하나님에 대해서도 잘못 이해하는 것 같다. 적어도, 본인의 의도가 빗나간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한국교회의 인본주의 사상을 집어 내는 것에 성공했지만 그렇게 유도되게 된 근원과 방향제시에 더 초점을 두었더라면 좋았을 것을...

옥성호씨가 책에서는 심리학이 우상이라고 말하였지만 인터뷰보니까 이렇게 말하더라

기자:심리학이 인간 중심적 학문에서 출발했기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렇다면 조직신학은 인간 중심적 학문인 철학을 끌어들여 성경을 해석하는 방법인데, 철학은 문제가 없나요? 역사학을 토대로 한 성서고고학 또는 역사학은 어떤가요? 또한 기독교 교육과 기독교 사회복지는요?"

옥성호: "저는 심리학을 부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제가 책에서 '심리학'이라는 용어로 시작했지만 사실 제가 전면 부정하는 것은 '정신분석'입니다. 물론 심리학이 과학이다라는 주장에는 전면 부정하지만요. ..." (뒤에 계속되는 말을 읽어보면 좋은 말도 더 있다)

출처 http://blog.daum.net/4rightpath/13801121

심리학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는 '정신분석'을 부정하는 것이다?  심리학은 부정하지 않지만, 심리학이 과학이다라는 주장에는 전면 부정한다???   그런 심리학의 어떤 부분을 인정하는지 책에서 밝혀줬으면 했다. 심리학에서 들여온 심리학적 정신분석이 교회에 미치는 영향이 많은 사람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고, 하나님은 깊은 은혜를 체험하게 한 기독교 상담이라는 영역에 어떻게 부적절한지를 말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저자가 실질적으로 목회 현장에 뛰어 들어가서 설교도 해보고, 심방도 해보면 어떤지 한번 지켜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