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부터의 도피 홍신사상신서 26
에리히 프롬 지음 / 홍신문화사 / 1991년 7월
평점 :
품절


20세기 파시즘과 나치즘의 등장은 인간에 대한 새로운 두려움을 안겨주었다. 산업사회의 등장으로 자연으로부터 멀어진 인간은 새로운 일체감을 느낄 수 있는 경외 대상을 찾기 시작하였으며 급속한 사회·경제적 변화는 이를 충분히 뒷받침해주었다. 20세기 전체주의적 사고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는 이를 우화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인간은 이미 개인임을 자각하는 바를 초월하여 그 이상을 얻고자 하였으며 외부의 권위에 의탁한 수용적 경향을 짙게 내뿜기 시작하였다. 에리히 프롬은 전 유럽에 퍼져가는 사회 병리적 현상에 대해 전 방위적 분석을 통하여 건전한 사회로 나가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중세와 르네상스의 자유

중세의 가장 큰 특징은 신분이동의 자유가 없었다는 점이다. 이는 마치 우리나라의 조선 시대의 전형과 일치한다. 각기 주어진 자리에서 자신의 일을 묵묵히 하는 것을 최고의 미덕으로 삼았으며 자신보다 위에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최선의 봉사를 다해야했고 이를 숙명처럼 받아들였다. 하지만 상업이 발달하기 시작한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한 자본의 유입은 기존의 봉건 질서를 지탱해 오던 경제기반을 농업에서 상업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켰으며 후에 부르주아와 중산 시민층으로 성장하게 될 상인 세력의 등장은 신분 재편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주었다.

종교개혁과 자유

루터와 칼뱅의 종교 개혁은 기존의 최고 가치 체계였던 로마 카톨릭으로부터 독립한 새로운 것처럼 보이지만 그들 역시 신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일례로 칼비니즘의 예정설이란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천국에 갈지 지옥에 갈지 정해져 있으며 인간의 의지와는 무관하다는 절대적 신관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항상 불안하고 안정되지 못한 상태이며 자신의 생업에 최선을 다하는 것을 새로운 도피처로 삼고 이는 후에 나치 히틀러가 차용하게 된 우생학의 한 사상으로 자신들 이외에는 모두 열등하다는 칼빈주의자 자신들만이 구원받을 수 있다는 점과 일맥 상통함을 보여준다.

근대인의 자유

중세의 안정된 신분에서 새로운 근대기의 불안정한 상태를 맞이하게 된 인간들은 점점 고독하고, 점점 고립되어 자신의 밖에 있는 새로운 힘에 압도되어갔다. 자궁으로부터의 박탈감을 맛 본 인간들은 새로운 안정감과 새로운 자아를 추구하였고 재산, 명성, 권력, 가족등의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재산을 자신의 자아와 동일시하게 되었으며 타인을 지배하고 존경을 받는 것은 불안한 자아의 새로운 후원자가 되어주었다.

도피의 메커니즘

20세기는 새로운 인간형이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착취적 경향을 지닌 히틀러와 무솔리니는 새로운 선전술과 과장으로 무엇이든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모든 선의 원천을 외부로부터 받아들이는 수용적 경향을 지닌 대중의 지지를 받았으며 자아를 박탈당한 인간들은 시장 지향적이며 저장 지향적이 되어갔다. 헉슬리의 표현대로라면 '멋진 신세계'의 인간들은 개성을 가진 인간을 오히려 '비정상'으로 몰아세우며 자신의 체제에 적합하지 못한 부적응자로 분류하여 격리한다. 태어날 때부터 계급을 나누어 생산(태어나는 것이 아님)되며 모든 근심이 없는 사회를 만들려고 노력하며 모든 인간은 하나의 부속품에 지나지 않는다. '소마'라는 마약은 나치가 주로 활용했던 '프로파간다'를 연상시키며 대중의 비판적 능력을 몹쓸 것으로 치부해 버린다.

한 마디로 자신의 퍼스낼러티를 포기하고 문화적 퍼스낼러티를 받아들여 다른 사람들과 전적으로 동일한, 혹은 다른 사람들이 기대하는 사람이 되어 가는 것이다. 그러면 외부와의 갈등은 사라지고 고독과 무력을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이는 현대인이 가장 많이 취하고 있는 도피의 메커니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