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싱턴의 유령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난주 옮김 / 열림원 / 1997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에서 상실의 시대(노르웨이의 숲)이 영향이 커서인지 아니면 문화권이 달라서인지 어느분의 말씀처럼 리얼리즘은 없어 보인다. 하루키의 소설에서 리얼리즘을 찾는게 애당초 무리가 아닌가 싶다. 그의 소설을 거의 읽어 보았지만 리얼리즘이 있다고 생각되는 소설은 상실의 시대뿐이었으니..하긴 우리의 문화로 상실의 시대가 제대로 이해될 수 있을까 하는 생각했던 적이 있었으니..

그의 소설 '양을 쫒는 모험'을 보며 이것이 하루키다운 소설이라 생각햇는데 그것보다는 좀 더 사실적이었지 않았나 싶다. 렉싱텅의 유령은 인간의 본원적 그리움을 형상화 한 소설이 아닌가 싶다. 왠 유령타령인가하겠지만 그의 환상을 나타낸 것일수 있고 아니면 하루키식 반어적 표현...외로운 인간에 대한 또 다른 표현이랄까..모든 것이 오래되었다는데 따른 또 다른 이미지가 이닐까..

그의 단편중 '침묵'과 '토니 다키타니'는 그래도 리얼리즘이 엿보인다. 그의 학창시절을 써 놓은듯한 침묵은 어느 남자의 고교시절을 회상하며 자신의 기억을 더듬어 말해준다. 무엇을 기대한다는 것은 그만큼 실망을 안겨주는 듯 하다. 그의 글들을 읽으면서 우리의 정서가 아닌 그들의 정서로 이해한다면 좀 더 그의 정신과 맞닿을 수 있는 지평이 열리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