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칼코마니 미술관 - 동서양 미술사에서 발견한 닮은꼴 명화 이야기
전준엽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는 요즘 미술관을 갈 수 있는 상황이 아니지만..

그림이 보고 싶었다.

그리고 책을 미리 보니 편집 디자인도 마음에 들었다. (짝 맞춤, 대칭을 좋아한다.)

책을 읽으니 오랜만에 미술 관련 지식이 채워진 느낌이 든다.

알았던 그림이 새롭기도 하고 특히 공통된 주제로 동서양의 미술을 한 번에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동서양 두 작품이 완전히 맞을 수는 없지만 주제에 맞는 두 작품을 찾으려 한 저자의 많은 고민이 느껴졌다.


책은 크게  네 가지 주제로 나누고 그 안에서 네 가지의 소주제로 나누고 있다.

1. 삶 - 자화상 이야기, 사랑의 색깔, 생각의 모습, 신의 얼굴

2. 일상 - 유흥 문화를 보는 다른 눈, 창작의 윤활유 술, 사소한 것에서 본 큰 세상(정물), 소리가 들리는 그림

3. 예술- 그림의 주인이 된 농부, 꿈을 그리다, 미술에 스며든 현실주의, 상상의 힘

4. 풍경- 풍경과 경치 사이, 자연을 보는 눈, 물의 미학, 삶의 현장 시대의 흐름 인생의 바다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 것도 방법이겠으나 관심이 가는 꼭지를 골라 읽어도 무방할 듯하다.

미술사는 서양 위주로 정리되어 있고 남아있는 작품도 그 수가 많다.

하지만 주눅들 필요는 없다는 걸 이 책을 보며 다시금 느낀다. 또한 우리 미술을 어려워할 필요도 없을 듯하다.

결국은 살아왔던 흔적들이다.

삶의 방식, 생각, 문화 등의 차이가 다른 표현으로 나타나는데 비교해보면서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는 게 재미있다.


몇 가지 기억하고 싶은 그림들


속죄의 의미를 담아 자기반성적 자화상을 그린 미켈란젤로와

선비로서의 다짐을 드러내고 있는 겸재 정선의 자화상

내 자화상을 그린다면 어떻게 그려야 할까?


유흥문화를 비관적으로 볼 것인지

밝은 분위기로 바라볼 것인지는 다르지만

인간의 솔직한 그림을 드러낸 두 화가

(작년 로크텍 전시를 못 간 아쉬움을 달래본다)


세잔의 <생트 빅투아르 산>과 정선의 <인왕제색도>

표현 방식은 다르지만 결국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림에 표현하고자 했던 노력의 결과물들이다.

세잔의 그림을 보니 요즘 유행하는 오일 파스텔 풍 같기도 하고 알록달록한 색감이 레고 같기도 하다.

지금은 알록달록한 색감이 더 좋지만 한때는 수묵화를 좋아했다. 나의 현재 상황에 따라 같은 그림이더라도 호불호가 바뀔 수 있고 해석이 달라질 수도 있다.그림이 먼저 제시되어 있으니 설명을 읽기 전에 나름대로의 해석(?)을 해보는 것도 좋겠다.


우리 미술에 흥미를 느끼고 서양 미술과 비교해보면서 편하게 알아갈 수 있는 안내서이다.


* 책을 제공받아 읽고 씁니다.

사소한 일에다 의미를 새기고 그에 맞는 격식을 갖추는 마음이 파리를 예술의 도시로 만들었다. 우리가 사는 일도 따지고 보면 하찮은 일들의 연속이다. 그 작고 보잘것없어 보이는 것에 가치를 붙이면 그 삶은 그만큼 소중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역사를 바꾸는 위대한 예술이 나타나는 것도 이런 마음에서 시작한다. - P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