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속뜻 금강경 - 전광진 교수가 풀이한
전광진 지음 / 속뜻사전교육출판사 / 202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금강경은 우리나라에서 많은 분들이 독송하는 대승경전이고 인도 구자국 태생 승려 구마라습이 중국어를 배워가며 입말중국어로 옮긴 것으로 당시 장안 지역 입말을 반영시켜(P.223) 대중에게 쉽게 다가가려고 했다. 이런 노력이 이 책에서도 보인다.

보통 책보다 글자가 큰 편이라 보기 편하고 속뜻과 원문을 대조해서 볼 수 있어 좋다. 되도록 쉬운 우리말로 번역된 듯하고 부록으로 용어 사전이 있어 이해가 안 되는 용어를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용어 정리는 불경을 처음 접하는 일반인에게 꼭 필요한 부분이다.

이번에 알게된 용어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부처님의 깨달음의 경지, 완전한 깨달음이라고 한다.


쉽게 읽히지만 그 뜻을 모두 이해하려면 꽤 많은 생각과 많은 독송과 많은 깨달음이 필요할 듯하다. 아직은 모르는 게 많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읊어 주셨습니다.

"무릇 눈에 보이는 모든 모습은

모두 다 허망하도다.

온갖 모습이 정녕 모습이 아님을 알면,

즉시 여래를 알게 되리라." - P24

이 경은 상상할 수도 없고

무게를 달거나 양을 헤아릴 수도 없고

끝도 없는 공덕이 있느니라. - P84

있다고 여기는 모든 실체는

꿈, 허깨비, 물거품, 그림자 같도다.

이슬 같으며, 번개 같나니,

마땅히 이와 같이 볼지니라." - P166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은 2020-10-08 15: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하는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