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운 오리 새끼를 읽은 아기 오리 삼 남매 햇살그림책 (봄볕) 49
곽민수 지음, 조미자 그림 / 봄볕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엔 백조가 되고 싶었다.
아니, 무언가 되어야 했다.
그것도 반짝이는 무언가, 다른 사람들이 오호~~환호하고 인정해주는 무언가, 쉽게 이룰 수 없는 대단한 무언가가 되고 싶다고 생각했다.
엄마 아빠가, 선생님이, 주변 어른들이 물어보는 "너는 커서 뭐가 될래?"라는 말은 정말 커다란 무언가를 바라고 있었다.
백조처럼 눈부시게 하얗고(겉으로 딱 봐도 벌써 다른),
덩치도 (무시당하지 않을 정도로) 크고,
목이 (우아하도록) 길~~~~~고,
눈이 (반짝반짝 예쁘게) 조그만,
그런 근사한 무언가 말이다.

<미운 오리 새끼를 읽은 아기 오리 삼 남매>(곽민수 지음, 조미자 그림)는 <미운 오리 새끼>를 읽고 '내가 틀림없이 미운 오리 새끼야'라고 생각하고 백조가 되는 꿈을 꾸는 귀여운 오리 삼 남매의 이야기다.
꽉꽉이는 "아무래도 난 미운 오리 새끼인가 봐. 덩치가 크잖아."
꽥꽥이는 "아니야. 내 목이 제일 길잖아!"
꼭꼭이는 "봐, 내 눈은 백조 눈처럼 작잖아!"를 외치는 장면은 누구나, 남들보다,
특 별. 하 고 싶 은, 우리들의 마음을 그대로 보여준다.

재미있는 포인트!
여기 나오는 백조도 <미운 오리 새끼>를 읽은 백조인가보다.
미운 오리 새끼라고 주장하는 오리 삼 남매에게 깍깍깍 웃으며 말한다.
"내가 바로 그 새끼 백조야. 너희들은 딱 봐도 그냥 오리인걸?"

'그냥 오리'라는 말이 왜 백조에게는 자신을 뽐내는 말이 되었고, 진짜 오리들에게는 왜 풀이 죽는 말이 되었을까.

꽉꽉이도, 꽥꽥이도, 꼭꼭이도, 그리고 미운 오리 새끼 백조도 특별하기 때문에 실은 누구도 특별하지 않다.
이미 우리는 각자의 존재만으로 특별해졌기 때문에 특별한 무언가가 되지 않아도 된다.
그대로 각자의 삶을 살아가면 된다. 그저 그럴 뿐. 아무 비교도, 걱정도, 뽐냄도, 뛰어남도 없다.

그림책 마지막 부분에 작가의 말처럼 말이다.
"모두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아기 오리들이니까요."

영화 '포레스트 검프'에서 내가 제일 좋아하는 장면이 있다.
나중에 커서 빛나는 백조가 되는 꿈을 꾸는 여자 친구 제니는 주인공 포레스트 검프에게 묻는다.
"넌 커서 뭐가 되고 싶어?"
"난 커서 내가 되는 거 아니야?"

난 커서 내가 된다니.
꽉꽉이는 커서 꽉꽉이가 되고
꽥꽥이는 커서 꽥꽥이가 되고
꼭꼭이는 커서 꼭꼭이가 되고
백조는 커서 백조가 된다.

반짝 빛나는 그 무언가는 바로 나였다.
나는 커서 무언가가 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되는 것.
그러니 오늘을 나로 살아야한다.

후두둑 쏟아지는 빗줄기를 맞으며 오리 걸음으로 폴짝 폴짝 뛰어가는 오리 삼 남매의 얼굴 표정이 싱그럽다.
내가 나를 사랑하는 그 표정.
내가 나인 그 충만한 마음.
그래서 더 귀여운 오리 삼 남매.

이 책의 겉표지 앞면에는 <미운 오리 새끼> 책을 들고 가는 아기 오리 삼 남매가,
겉표지 뒷면에는 <미운 오리 새끼> 책을 읽고 있는 아기 오리 삼 남매가 그려져 있다.

앞면과 뒷면의 아기 오리 삼 남매는 <미운 오리 새끼>를 어떻게 다르게 읽고 있을까?
상상만 해도, 마음이 꽃밭이다. (뒷면 오리 삼 남매의 배경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책, 교사의 삶으로 다가오다 - 교사에게 그림책이 필요한 순간
김준호 지음 / 교육과실천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과 아이들의 공통점은? :)

- 나에게 질문을 던진다.

- 나에게 도 보여준다.(너무도 간단하고 쉽게)

- 나를 변화시킨다.

 

<그림책, 교사의 삶으로 다가오다>를 쓴 김준호 선생님은 이 과정을 "고백"한다. 내가 같은 교사로서 김준호 선생님의 글을 "고백"이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내 마음에도 똑같이 있는, 교사로서의 부끄러움을 그대로 드러냈기 때문이다. 

선생님의 고백은 아이들의 질문에서 시작된다. 새학기 첫 수업 시간에 한 아이가 "선생님은 좋은 교사에요?", 토론 수업을 하며 아이들이 "선생님, 토론은 왜 하는 거에요?", "선생님, 생각하는 게 뭐예요? 생각한다는 게 어떤 것인지 정확히 모르겠어요.", 학생자치회의를 시작하며 학생들이 "선생님, 학생자치회는 선생님들이 시키는 일만 하면 되는데 우리가 계획을 왜 세워요?" 라고 질문한다.

 

그리고 질문은 주변에서도 날아온다. 대학 면접관이 "자신이 어떤 사람인가요?", 임용 시험에 2번 떨어진 자신에게 한 친구가 "너 진짜 교사가 되고 싶니?" 라고 묻는다.

 

그리고 그림책도 질문을 건네온다. "좋은 하루란 어떤 하루인가요?, 나에게 '우리'는 누구인가요? 세상이라는 말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풍경은 어떤 건가요?"<첫번째 질문>(오사다 히로시 글, 이세 히데코 그림), "가장 중요한 때는 언제일까? 가장 중요한 사람은 누구일까?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일까?"<세가지 질문>(레프 톨스토이, 존 무스)

 

그렇게 밖에서 날아온 질문들은 김준호 선생님에게 '지금의 나'를 돌아보게 한다.

"나는 좋은 교사가 아니다. 나는 아이들의 마음을 그대로 받아주지 못하고 "내가 말하는 게 옳은거야!" 라고 내가 바라는 아이들의 모습만 강요해왔다. 학교에서 아이들끼리 경쟁하는 사이 나조차도 교사들 사이에서 승진 경쟁에 무작정 뛰어들었었다. 나는 아이들을 진정 사랑하지 못했다. 나는 내 수업에 자신이 없다. 수업이 싫어서 학교에 가는 것도 힘들고 싫었다."는 선생님의 고백은 실은 나의 고백이었다. 부끄럽지만 그 솔직한 고백이 선생님에게는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시작이었고, 변화의 전환점이었다.

 

그 쓰라리고 부끄러운 자기 고백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게 하고, 따듯하게 다독여주고, 정말 가고싶어하는 길을 보여준 것이 바로 그림책이다.


<슈퍼 거북>(유설화), <진짜 곰>(송희진)

교사인 내가 나답게 살 때 학생 개개인이 나답게 살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다. 내가 나다울 때 학생을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진다. 학생 개개인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게 된다. 그래야만 학생들이 사회가 요구하는, 많은 사람이 정답이라는 길을 걸어가려고 할 때 멈추라고, 너 자신에 대해 생각해보라고, 너만의 길을 가보라고 말해줄 수 있다.(p.44)

 

<헤엄이>(레오 리오니)

교사들 사이의 무한한 경쟁만이 존재하는 학교는 발전이 없다. 경쟁만을 중시하는 교사들은 학생을 제대로 가르칠 수 업다. 경쟁을 통해 남을 짓밟고 올라서려고 하는 학생만을 기를 뿐이다. 우리 학생들이 성장해 만들 사회는 지금보다 더 아름다워야 하지 않을까. 경쟁보다 협력이 학교를, 우리 사회를 아름답게 만드는 비결이 아닐까. 우리 교사들이 헤엄이, 토끼와 거북이, 담쟁이처럼 살아가면 좋겠다.(p.122)

 

<생각>(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생각'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코비 야마다 글, 매 베솜 그림)

생각을 잘하는 학생들을 키우고 그 학생들이 세상을 좀 더 아름답고 살만한 세상으로 바꿀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수업의 진정한 목표가 아닐까? (p.159)

 

<도서관에 간 사자>(미셀 누드슨 글, 케빈 호크스 그림)

학생들의 가장 절실한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으니 학생들이 학교문화를 바꾸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학생들이 생활 속 당면한 문제를 민주적인 절차와 방법으로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배우고 실천하는 과정이 학생자치다.(p.231)

 

<마음 조심>(윤지), <가드를 올리고>(고정순)

일어서는 것은 여전히 힘들지만 여전히 나를, 동기 교사를, 모든 교사를 일으켜주는 것도 학생이다.....너희가 있었기에 지금의 내가 있다. 너희를 만났기에 좀 더 바람직한 교사가 될 수 있었다. 감사하다.(p.243)

 

선생님은 자신의 변화를 고백한다. 

"그림책을 만나고 참 많은 것이 변했다. 그림책을 통해 학생들과 소통이 되기 시작했다. 그림책을 읽고 서로의 느낌과 생각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학생을 이해하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나도 내 이야기를 하게 되었고, 그러자 학생들이 나를 이해하게 되었다. 그렇게 조금씩 학생들과 마음으로 연결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학생들의 마음을 접하게 되니 학생들을 예전보다는 더 사랑하게 되었다. 그림책 덕분에 이제야 조금 좋은 교사가 되어가고 있다."(p.16)

 

나 역시 임용시험에 합격을 하고 교사가 되고나서 가장 처음 만난 벽은 난 교사가 되었는데 교사가 되지 않았다는 거였다. 선생님이라는 이름이 생기고 난 드디어 선생님이 되었구나! 했는데, 그게 아니라 반짝이는 아이들과 만난 그 날이 내가 선생님으로 처음 태어난 날이었다. 아무것도 모르겠고, 학교도 모르겠고, 아이들도 모르겠고, 수업은 더더욱 몰랐다. 지금도 헤매고 있는 그 어디쯤인데, 이 글을 쓰신 김준호 선생님의 "조금 좋은 교사가" "되어가고 있다" 라는 변화의 말을 들으니 나도 되고 싶다. 조금 좋은 교사가 되어가고 싶다. 그림책과 아이들의 질문에 귀기울이고 나를 솔직하게 들여다 보면, 그리고 그 마음으로 아이들을 만나면 나도 조금 좋은 교사가 되어갈 것이다. 그런 고민을 마음에 품고 있는 선생님들께, 부모님들께, 어른들께, 꼭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