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몬드 (양장) - 제10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손원평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출판사 창비에서 서평의 기회로 제공받은 손원평작가의 [아몬드]를 받기 전부터 손 작가의 수상 경력과 여러 출간 도서들의 정보를 알아내기에 어려움이 없었기에 충분한 이해도를 가지고 이 도서를 접할 수가 있었다. 슬픈 표정을 한 소년이 담긴 첫 표지를 넘기고 1부가 시작되기 전에 이 책이 말하려는 요점을 정리하듯 시원하게 적어 내려간 프롤로그 부분을 읽으면서 손원평작가의 필력을 단숨에 알아버렸다. 사건의 결말을 먼저 던져서 호기심과 궁금증을 유도하는 문체와 짧게 글을 잘라 서술하면서도 밀도 있는 문장력 덕분에 가속성은 불을 붙는다. 이 도서를 받자마자 단숨에 읽어버렸던 이유기도 하다. 한 편의 드라마나 영화처럼 글들이 살아서 움직였다.


알렉시티미아 즉 감정 표현 불능증이라는 정서적 장애를 가진 남주(윤재)와 풍부한 감정을 주체하지 못해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는 윤재를 닮고 싶어하고, 상처받지 않으려면 강해져야 한다는 신념을 믿고 사는 윤재 친구 곤이 그리고 세상이 정한 기준에 타협하기보다 본인의 꿈을 밀고 나가는 부드럽지만 내면이 강한 윤재의 여자친구 이도라; 이 책은 세 아이들이 고통과 공감 사이를 오가며 낯설기만 하던 타인과의 관계가 단계적으로 성숙해가는 과정을 아름다운 사랑과 우정을 통해 그려졌고, 어른들의 따뜻한 역할이 청소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하는지 드라마나 영화처럼 잔잔하면서도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윤재는 고통을 느끼게 도와주려는 친구 곤이를 통해 우정을 배웠고, 세상에 가득 찬 아름다움을 깨닫게 해준 도라에게 사랑을 배웠고, 엄마의 책방에서 독서를 통해 결핍을 채웠고, 장애가 있었음에도 그를 사랑하고 지지해 주던 엄마와 할멈 그리고 신박사, 윤교수의 어른들의 존재 덕분에 결국 자아를 찾을 수 있었다.


어쩌면 이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장애나 결핍은 처음부터 문제가 아니었을 지도 모른다. 자신을 미워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믿고 싶다. 윤재는 고통을 느끼지 못해 받아왔던 사건 사고들로 자신을 괴물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윤재와 정반대인 곤이는 넘치는 감정들이 싫어서 오히려 암울한 학창 시절을 보내게 된다. 그렇다 처음부터 정답은 없었던 것이다. 이 세상의 모든 아이들은 각자의 결핍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결핍을 어깨에 지고 어찌 되던 견뎌내며 살아나가야 하는 것이 숙명이다 하지만 그 결핍의 기준이 세상에 의해 판단되어서는 안된다고 말하고 싶다. 또한 아이들 스스로 그 결핍마저 사랑할 수 있어야 하며, 어른들은 그러한 아이들을 아무런 편견 없이 사랑하고 적극적으로 지지해야 할 것이다. 손 작가는 아마도 이 메시지를 담은 것 같다.

이 도서는 스펜서 존슨의 선물, 앙투안 드 생켁쥐페리의 어린왕자처럼 한 아이와 어떤 존재와의 소통을 통해 단계적으로 성숙해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풀어냈다. . 나는 [아몬드]를 청소년기를 준비하는 아이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다. 또한 어린 시절 감정 쓰레기통이 되어 감정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 채 어쩌다 어른이 돼버린 우리들에게도 추천한다. 손 작가가 전하려는 메시지를 꼭 상기해 보면 좋겠다. 아몬드는 창비청소년문학상 78의 자리를 차지한 이유가 충분하다고 본다.

[아몬드]는'가슴이 머리를 지배할 수 있다'라고

믿는 나 같은 사람에게 희망을 주는 소설이다.

긴 겨울의 끝에 봄이 온다.

봄이면 식물이 자라듯 감정도 자라고,

감정이 자라면 세상도 자랄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동안 가슴이 내내 두근거렸다.

다가오는 봄에는 내 감정과 네 감정이 스파크를 일으켜 아름다운 폭죽 하나쯤은 터지고 말리라

소설가 공선옥

른 사람의 아픔에 공감하지 못한다는 것은

얼마나 불행한 일인가!

책을 덮고 나서도 코끝에 처연하고

시린 기운이 전해지는 것만 같다.

이재용 감독

두 시간 넘는 콘텐츠에는 집중하기가

어려운 영화인이 직업병.

그런데 200페이지가 넘는 이 소설은

마지막까지 금세 넘어갔다

장원석 PD

두 소년이 타인과 관계 맺고 성장하는 과정을 끝까지 섬세하게 짚어 나가는 작가의 문장은, 겉보기에 괴물로 보인다 할지라도 그 내면에는 언제나 괴물이 되지 않기 위한 눈물겨운 분투가 숨어 있다는 진실을 설득력 있게 보여 준다. 캐릭터의 매력, 그리고 깊은 성찰로 빚어낸 두 인물이 관계에 깃든 아름다움에서 이 작품이 문학적으로 의미 있는 성취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심사위원 권여선 김지은 오세라는 정은숙


[아몬드]는 2017년 '서점인이 뽑은 오래의 책"에 선정되어 서점인들이 직접 독자에게 권하는 도서이며 또한 아시아권 소설로는 최초로 2020년 제17회 '일본 서점 대상'번역 소설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총 15개국에 번역 수출 계약까지 이뤄졌다고 하니 한국인으로서 여간 뿌듯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