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따라잡는 알리의 한국사 대탐험 1 - 원시 사회와 고조선
우리역사 연구회 지음, 이대종 그림 / 철인북스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방학동안 큰아이와 열심히 역사책 읽기를 하었습니다.

동화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부터 시작해서

원시시대,어느사이 조선후기 개항기까지 읽게 되었답니다.

하지만 왜그리 어렵고 힘든 말들이 많은지 아이가 이해하지는 커녕

제가 아이들에게 설명해주기 힘든 용어들이 많더라구요.

큰 아이와 그렇게 역사용어들로 씨름하고 있을때쯤 이 책을 새롭게 접하게 되었답니다.

여러가지 만화 역사서도 몇권씩 둘러 보았던 터라 비슷한 형식의 만화역사서겠다 싶었죠.

하지만 첫장은 넘기면서 아 참 좋다란 생각이 들더군요.

큰아이가 항상 해오던 질문 "왜 꼭 역사 공부를 해야만 되요? "  그 답이 머리말에 있었어요

" 역사는 내일을 여는 힘입니다"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

저 또한 그 답을 새기며 아이와 역사 공부를 할까 합니다.

 

책의 내용에 들어가며 또하나 아 이거다 싶은 내용이 있었어요.

바로 육하원칙에 따른 역사의 전재였죠.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 어떻게 

예전 읽었던 책에 육하원칙으로 역사 이야기를 풀어보라고 했었던 기억이 나더군요.

어렵지도 않았던 그 이야기가 실천이 안되고 잊혀져있었는데 이 책을 보며 아이와

역사 공부 어떻게 하면 될것인가에 대한 그림이 머리속에 그려지더라구요.

 

만화속 이야기는 범이와 슬기가 할아버지 댁이 있는 단양의

구석기 시대의 도담리 동굴속에서 우연히 만난 알리라는 리모콘

과 함께 원시사회와 고조선을 여행하는 이야기 랍니다.

만화 곳곳에 사진들이 있어 보다 사실적 역사의 흥미를 더 해주죠.

하나하나의 설명도 참 이해가 쉽더라구요.

사냥 도구로 쓰였던 뗀석기를 만들던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의

모습은 동굴에 앉아 돌들을 들고 서로 탁탁 소리를 내며 깨는 모습의 그림으로

있어 그시대의 모습을 한눈에 볼수 있었죠.

신석기 장신구들과 갈아놓은 여러가지 간석기들 볘바늘을 통해 조금은 발전되

모습이 보이더군요 움집 만들기 참 재미있었어요.

청동기 시대의 첫장은 싸움이였어요.  청동기의 시작을 알리기에 가장 좋은

이야기죠.   지배계층 부족의 연합 그리고 나라의 탄생.

청동기를 만드는 과정과 그 쓰임새를 잘 알수 있었어요.

고조선과 철기 시대에서는 단군신화의 풀이와 고조선의 명칭이부터

고조선시대의 중국의 상황 고조선의 멸망까지 나와 있었죠.

 

고조선 주변국들에서는 부여 고구려 동예 옥저 삼한 등의 국가에 대해

간단하지만 중요한 내용들이 빠짐없이 들어 있었습니다.

부여의 사출도 4명의 "가" 영고 순장풍습

옥저의 민며느리제 동예의 무천행사

삼한의 소도 저수지등 이 간단하고 재미있게 범이와 슬기의

여행속에 담겨져 있었답니다.

만화의 그림색이 너무 원색적인 면이 있어 눈에 피로가 올것같은

아쉬움이 있더라구요 아이들이 좋아하는 흥미를 끄는데는 좋겠지만

눈을 생각한다면 조금 흐린 색이였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더군요
 

각장의 만화 뒤편에 톡톡튀는 역사 이야기 란이 있는데

그림속에서 보았던 내용들이 글과 사진으로 다시 한번 더

자세히 나와있었습니다.   
 

이 책은 저와 큰 아이보다 작은 아이가 먼저 읽은 책이였어요

만화책을 유난히 좋아하는 요즘 아이들처럼 작은 아이가 먼저 들고

좋아하하며 읽은 책이죠.    제가 이 책을 손에 들고 있으니 옆에와 술술술

자기가 읽은 책의 내용을 이야기 해주면서 엄마 맞지 나 잘 알지 하며 아는척하더군요.

아마도 그동안 오빠와 저의 역사책 읽고 하는 대화가 부러웠나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