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 살의 임진왜란 - 성장소설로 다시 태어난 쇄미록
황혜영 지음, 장선환 그림 / 아울북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쇄미록]이라는 제목은 <시경>의 ‘쇄혜미혜유리지자’라는 구정에서 땃다고 한다. ‘쇄미’는 ‘초라하고 보잘것없다’라는 뜻으로, 조선 중기 벼슬 없이 평생을 보냈던 선비 오희문은 이 책이 자신이 전쟁을 피해 떠돌던 기록임을 나타내려고 일부러 이름을 그렇게 지었다고 했다.

이 [쇄미록]을 보고 작가는 12살 담이가 전쟁 통에 고난을 겪으며 성장하는 이야기를 담았고, 평범한 개인의 삶이 전쟁으로 어떤 삶을 마주하는 지 책에 담았다고 한다.



<열두 살의 임진왜란>은 임진왜란이 갑작스럽게 일어나면서 가족이 함께 했던 평화로운 일상을 잃어버린 담이가 혼자 힘으로 전쟁의 혼란을 겪고 살아남는 이야기이다.

담이의 이야기를 통해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이 얼마나 지독하고, 무서운 지... 마치 내가 그 시대를 살아가는 것 마냥 삶의 모든 순간이 처참했다.

가족을 모두 잃고 혼자 남은 담이.

어린 담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그저 살기 위해 움직이는 것 뿐였다. 왜군을 피해 사람들따라 산으로 숨고, 나무 껍질을 벗겨 살기위해 씹고, 피붙이 막둥이를 만났지만 동생을 지켜낼 수 없었던 어린 담이였다.

전쟁은 그렇게 소박했던 담이의 일상을 망가뜨렸다.

죽기 직전의 담이를 구해준 건 지나가던 스님이었다. 스님은 오생원의 집에 담이를 맡기고, 담이는 허드렛일을 하며 살게 된다. 담이는 그 곳에서 가을도, 겨울도 보내며 전쟁통속에서 좋기도, 나쁘기도 한 일상을 보내지만 혹시나 살아있을지도 모르는 오빠를 찾기위해 위험한 곳으로 떠나게 되는 이야기이다.

담이의 오빠를 찾았다는 이야기로 끝이 난 것은 아니지만, 어린 담이가 오빠를 꼭 만났음 하는 마음이 간절했다.



<열두 살의 임진왜란>에선 큰 사건을 다루진 않는다.

책을 읽다보면 임진왜란중 겪은 사람들의 모습이 자세히 그려진다. 너무 잔인하다 싶을 때는 책장을 빨리 넘기기도 했다. 피란의 낮과 밤. 황폐한 전쟁속. 담이를 통해 함께 살아남은 듯한 기분이었다. 4학년인 아들이 어려워하는 부분도 있어서 엄마의 말을 통해 풀어내며 읽느라 책 읽는 속도가 늦어지긴 했지만, 역사를 배우는 고학년의 아이라면 읽어보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