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수대] 거장 [중앙일보]

관련링크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가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한 것은 1996년 6월이었다. 당대 최고의 첼리스트를 만날 기회를 놓칠세라 장안의 음악 애호가들이 객석을 가득 메웠다. 당시 69세의 대가는 연륜에 걸맞은 완숙의 경지를 펼쳐보였다. 관객이 또 한번 감동의 물결에 휩싸인 것은 앙코르 연주를 위해 그가 다시 무대에 나타났을 때였다. 무대 뒤편의 합창석을 향해 돌아앉아 연주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가장 값싼 입장료를 내고 들어와 공연 내내 자신의 뒷모습만 바라봤을 관객들을 위한 배려였다. 앙코르 곡은 바흐의 무반주 첼로 조곡의 한 소절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20세기 전반에 파블로 카잘스라는 걸출한 첼로의 대가가 있었던 것처럼 지난 세기의 후반에는 로스트로포비치가 있었다. 세기를 대표하는 거장도 음악에 대해서는 겸허했다. 바흐의 무반주 조곡 전곡을 환갑을 넘긴 뒤에야 비로소 녹음했다는 사실이 그의 겸허함을 입증한다. 치밀한 해석과 고도의 기량을 요구하는 바흐의 무반주 조곡은 첼리스트라면 누구나 한번은 올라서기를 꿈꾸는 봉우리와 같다. 첼리스트의 원점이자 목표점이며 '첼로의 성서'로 불리는 곡이다. 남들처럼 빨리 발표해 인정을 받겠다는 유혹도 있었을 법하지만 로스트로포비치는 서두르지 않았다. 스스로 자신의 연주를 납득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고 기다린 것이다.

로스트로포비치는 또한 신념과 용기의 소유자였다. 소련의 반체제 작가 솔제니친을 자신의 별장에 4년간 숨겨준 일로 정부의 박해를 받고 16년간 망명생활을 해야 했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을 때 그는 현장에서 기념 연주를 했다. 91년 반동 쿠데타를 일으킨 옛 소련 군부가 러시아 정부 청사를 둘러쌌을 때도 그는 현장에 나타났다. 탱크 위에 뛰어올라 맨주먹으로 쿠데타를 저지한 보리스 옐친 전 러시아 대통령의 원군을 자처한 것이다. 공교롭게도 당시의 동지 옐친이 숨진 지 나흘 만인 27일 80세의 로스트로포비치도 그 뒤를 따랐다.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지만 그는 예술과 인생 모두 굵은 족적을 남겼다. 고고한 정신의 표출인 예술세계는 물론이요 현실과 타협하지 않는 용기에다 낮은 곳을 살피는 도량까지 두루 갖춘 인물이었다. 언젠가 인터뷰에서 밝힌 그의 인생관이 한 점 부끄럼 없이 삶을 마감할 수 있었던 이유를 말해준다. "사람은 언젠가 양심이라는 재판관과 만나게 된다. 고난을 모르는 사람은 결코 행복해질 수 없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체리마루 2007-05-01 18: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최남선이랑 비교된다. 정확히는 대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