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ctg=20&Total_ID=2646443

[분수대] 사회서비스 일자리 [중앙일보]

관련링크
19세기 말 빅토리아 왕조 시절의 영국 런던에는 도시 빈민 문제가 심각했다. 새로운 지식과 공동체 의식으로 충만한 대학사회가 기아와 질병에 시달리는 도시 빈민들에게 구호의 손길을 뻗쳤다. 몇몇 대학이 빈민가에 지역 주민과 힘을 합쳐 사회복지관(settlement house)을 짓고 대학생들을 정착시켰다. 이들은 런던의 도시 빈민과 그 자녀들을 대상으로 기초교육과 자활방법.운동.예술 등을 무료로 가르쳤다. 그 후 빈민가 정착 운동은 빈민이나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의료 및 법률 지원 등으로 범위가 점차 확대됐다.

이 운동은 미국으로 건너와 당시 도시 빈민이 몰렸던 뉴욕과 시카고에 수십 개의 사회복지관이 건립됐다. 이런 전통은 오늘날 미국에서 주민센터(neighborhood center)의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이른바 사회사업(social work)은 이렇게 시작된 것이다.

처음에 대학생과 자원봉사자들로 시작된 사회사업은 범위가 넓어지고 전문성이 요구되면서 점차 자격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맡게 됐고, 복지국가의 개념이 도입된 뒤에는 정부가 상당 부분을 떠안고 있다. 사회사업이란 말도 사회 서비스란 용어로 바뀌었다. 기획예산처가 정의한 사회 서비스는 '개인 또는 사회 전체의 복지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사회복지.보건의료.교육.문화.안전 등의 서비스를 모두 아우르는 말이다.

정부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사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었지만 이를 감당할 '인력'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90만 명 부족하다고 추산했다. 그러면서 2010년까지 사회 서비스 '일자리'를 80만 개 창출하겠다고 했다. 지난주 열린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보고회'에서다. 그런데 참으로 이상한 점은 '인력'이 부족하다면서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인력이 부족하면 인력을 국내에서 양성하든지, 아니면 해외에서 수입하든지 해야 할 텐데 난데없이 고용을 창출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정부의 논리대로라면 일손이 부족한 것이지 일자리가 부족한 게 아니지 않은가.

'좋은 일자리'란 말도 어폐가 있다. 주로 간병 도우미, 보육 도우미, 방과 후 강사, 도서관 야간근무 요원 등을 늘린다는데 보수도 적고 안정성도 떨어지는 이런 일자리가 어떤 면에서 좋다는 것인지 모를 일이다. 차라리 사회 서비스를 확충하겠다고만 했으면 좋았을 것을 공연히 '일자리'를 끌어다 붙이는 바람에 헷갈리기만 한다.

김종수 논설위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